명량
김호경 지음, 전철홍.김한민 각본 / 21세기북스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여름이라는 계절의 특성 때문인지 지금 극장가에는 바다를 배경을 한 영화들이 몇편 개봉되었다. 바다라는 공간적인 배경은 같지만 내용뿐만 아니라 분위기도 다르다.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은 영화 <명량>이다. 아직 보지 못한 영화이기에 동명의 소설을 먼저 만난다.

 

영화 속에서 싸움을 잘한다는 사람들은 꼭 1:16으로 싸우게 된다. 아니면 왕년에 내가 1:16으로 싸웠노라고 허풍을 떠는 장면들을 만날수 있다. 그것이 가능한 일일까. 아니, 그것이 가능한 것인지 불가능한 것인지가 중요하지는 않다. 우리들은 영화속 한 장면의 에피소드로만 받아들인다. 하지만 12:330으로 싸운 사람들이 있다면 어떠할까.

 

 

누구나 다 알고 있듯이 이 책에서는 이순신을 만날수 있다. 그는 누구를 위해 싸운 것일까. 선조에게서 수군을 파하고 도원수 권율이 이끄는 육상군에 합류하여 싸우라는 교지를 받는다. 그에게는 바다가 목숨과도 같은 곳인데 그곳을 버리라는 말을 듣고 그는 어떤 선택을 할까. 장수된 자의 의리는 충을 따라야 하고, 그 충은 임금이 아니라 백성에게 있다고 말하는 이순신. 그는 결국 임금이 아닌 백성들을 따른다. 그에게 남은 것은 그를 따르는 장수들과 백성들, 12척의 배 뿐이다.

 

아직도 신에게는 12척의 배가 있습니다.

 

옥고를 치른것도 모자라 그에게는 끝없는 시련이 다가온다. 어머니의 죽음과 수군의 폐하는 선조의 교지, 장수와 병졸들은 싸울 의지를 잃었다. 이런 상황에 그는 어찌해야 하는 것인가.   

 

<명량>은 이순신이라는 인물과 명량해전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이지만 그 속에서 만난 많은 인물들에게도 주목한다. 작은 힘이라도 보태려는 사람들. 다른 무엇보다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사람들이다. 손익을 따지는 것이 아니다. 누구처럼 안일하게 관망하며 자신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들이 아닌 것이다. 이순신이 덕장으로서 자신의 일을 했다면 그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묵묵히 그를 믿고 따르며 불가능한 싸움을 해나갔던 것이다.

 

"똑똑히 보아라! 나는 바다에서 죽고자 이곳을 불태운다! 더 이상 살 곳도 없고, 물러설 곳도 없다. 목숨에 보전하려 하지 마라. 살고자 하면 필히 죽을 것이오, 또한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 병법에 이르길 한 사람이 길목을 잘 지키면 천 명의 적도 떨게 할 수 있다 하였다. 바로 지금 우리들이 처한 형국을 두고 하는 말 아니더나!" - 본문 190쪽

 

아직 영화를 만나지 못하고 책으로 먼저 읽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순신이란 인물의 매력에 빠지고 그의 마지막을 안타까워 한다. 아마도 그와 같은 지도자를 원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사사로운 마음이 아니라 진정한 충을 행하려 했던 그의 진심을 알기에 많은 사람들은 그를 진정으로 그리워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이들이 존경하는 인물 중 한명은 이순신이다. 어떤점이 아이들에게 본받고 싶은 마음이 들고 그를 닮고 싶어하게 만드는 것일까. 책에서는 단순히 적은 수로 상대적으로 많은 왜군과 대적하여 싸운 무용담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장군으로의 이순신뿐만 아니라 인간 이순신을 만날수 있다. 한 사람을 영웅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 이순신이 얼마나 많은 고뇌가 있었는지 만나게 된다. 한 나라의 장군이기 이전에 그도 백성이고 누군가의 자식이며 아버지였던 것이다. 역사에 기록될만한 치열한 전투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도 치열한 삶을 살았던 인간 이순신을 만날수 있는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