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유전자 전쟁 - 신고전파 경제학의 창조적 파괴
칼레 라슨 & 애드버스터스 지음, 노승영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창피한 이야기이지만 경제관념도 없도 경제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 월급이 통장에 들어오면 그것으로 끝이다. 공과금은 자동적으로 알아서(?) 칼같이 빠지고 일부는 적금과 보혐료 납부 등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돈으로 생활하는 정도이다. 다른 사람들은 재테크에도 관심이 많지만 난 오로지 예금과 적금 밖에 모른다. 그래서 종종 세상물정 모른다는 말을 듣는다. 이런 사람이기에 마주하기 힘든 것이 경제서들이다. 모르니 배우기 위해 책을 봐야한다는 생각과 봐도 잘 모르니 그냥 넘어가자라는 생각이 충돌한다. 이런 내가 '신고전파 경제학의 창조적 파괴' 라는 부제가 있는 책을 만난다.

 

 

표지를 보고 제일 먼저 한것은 '신고전파 경제학'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책을 읽는다면 책의 내용을 잘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때문이다. '신고전파 경제학'경제 학파의 하나로, 시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찾아보니 생각했던거와 달리 그리 어려운 의미가 아니다. 나같이 경제나 경제학에 대해 문외한인 사람도 이 책을 어렵지 않게 접할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아니 많은 사진, 그림자료들과 함께 풀어가는 이야기들은 어려움이 아니라 신선함으로 다가온다. 마냥 어렵고 우리와는 동떨어진 학문이라 생각했지만 흥미를 주는 학문임에는 틀림없다.

 

첫 이야기부터 우리들의 눈길을 끈다. 이 책의 저자인 '칼레 라슨'은 경제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길이 있다고 한다. 명백한 모순을 죄다 무시하고 현 상태를 받아들이거나 처음부터 비주류에 서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들은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떤 입장에 서 있는 것일까. 아마 난 전자에 가깝지 않을까한다 ㅠㅠ

 

이야기가 아닌 사진으로 시작한다. 몇 장의 사진들은 서로 연계성이 없어 보인다. 아니 극과 극의 사진들이다. 처음에 보이는 사진들은 도시의 야경과 자연의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이 가득하다. 그 뒤로 바로 보이는 사진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생각해 보게 된다. 사진에만 관심을 가지지만 책에서 던지는 질문과 사진과 함께 그려진 그래프를 보면서 경제학이라는 이야기에 발을 들여 놓는 것이다.

 

이 책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제목으로 채택된 7장 '캠퍼스에서 펼쳐지는 문화 유전자 전쟁'의 내용을 눈여겨 보게 된다. 1960년대에 전 세계의 캠퍼스 수백 곳에서, 최근에 여러 나라에서도 대학생들이 변화를 주도했다고 한다. 책에서는 아예 그들을 불쏘시개라는 말로 표현한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여러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이 시기에 다시한번 불쏘시개가 되어야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말을 전한다. 

 

역사상 중대 시기에 대학생들은 대규모 저항 운동의 불쏘시개가 되어 왔다. - 본문 273쪽

 

책에는 다양한 사진과 그림자료들을 만날수 있다. 딱딱한 경제가 아니라 흥미로운 사진들과 함께 여러 경제학자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다소 충격적인 사진만큼이나 표현들도 과감하다. 새로운 경제학자들이 꼰대들을 권좌에서 몰아내고 운명의 수레바퀴를 새로운 방향으로 굴릴 것이라 말하는 저자.

 

기하급수적 성장이 영원히 계속될 수 있다고 믿는 자는 미치광이 아니면 경제학자다. 케네스 볼딩 - 본문 329쪽

 

서두에 작가가 말한 것처럼 모순을 무시하고 현상태를 받아들어거하거나 비주류에 서는 두 가지 방법 밖에는 없는 것일까. 이 책은 기존의 것들을 비틀고 있다. 꽈배기처럼 비비 꼬였다는 것은 아니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점들을 과감히 비틀고 있는 것이다. 책을 읽고 난 후 우리의 입장은 달라져야 하는 것일까. 난 아직도 경계에 서 있다. 하지만 그들이 비틀고 있는 이야기에는 공감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