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인 수술 보고서 시공 청소년 문학 56
송미경 지음 / 시공사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시공 청년문학의 56번째 이야기를 만났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시리즈의 책이라 매번 신간이 나올때마다 함께 챙겨보는 책이다. 이번에 만나게 된 <광인 수술 보고서>는 예전에 만났전 책들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이다. 청소년문학이다보니 그들의 관심사나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번 이야기는 그 범주를 조금 벗어나 보인다. 하지만 한번 읽었을때와 다시 읽었을때의 느낌은 다르다.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듯 단순한 의학 보고서가 아니다.

 

 

'광인 수술 보고서'라는 제목부터 강하게 다가온다. 제목을 둘러싸고 있는 초록색 털실들은 무엇일까.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이 털실의 정체는 책을 보면 자세히 알수 있다. 광인의 사전적 의미는 '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른 사람'이다. 우리들이 떠올리는 광인은 어떤 모습일까. 가끔 개그프로그램에서는 웃음의 코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현실로 돌아가보면 그렇게 웃을수만은 없을 것이다. 문득 우리들이 보통 사람인지 모호해진다. 보통 사람과 다른 사람이라고 하는데 그럼 보통 사람은 누구일까.

 

한때 광인이였고 의사 자격을 박탈당한 김광호. '오만한 신경정신과전문의협회'에 보고서를 제출한다. 국내최초로 광인 수술을 시도했다면 보고서를 제출한 것이다. 아직 검증되지 않은 이 수술을  받는 사람은 누구일까. 김광호가 제출한 보고서는 환자 이연희가 직접 작성을 한 것이다. 글뿐만 아니라 서툴게 그려진 그림도 있다. 그 보고서에 의사가 주석과 각주를 작성한 것이다. 의학 보고서라고 하면 의사가 환자를 관찰하고 작성것일텐데 이 보고서는 환자가 수술을 받는 과정을 직접 작성한 것이다.

 

나는 잠깐 보아야할 것과 계속해서 보아도 되는 것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금 말해야 할 것과 더 말해도 되는 것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인으로 판정받은 건지도 몰라요. - 본문 11쪽

 

만 열일곱살이 되었을때 광인 말기 판정을 받은 이연희. 사춘기 이후 심한 강박장애를 드러내며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약물치료와 행동 요법을 병행해오다 광인 수술을 받게 된다. 정상인과 광인의 경계를 넘어 이제 광인의 경지에 이른것이다. 광인 말기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허탈한 웃음을 짓게 된다. 광기 말기의 종말은 짐승이 되는 거란다. 인간이지만 이제 인간으로서 살수 없는 것니다. 짐승은 인간이 될수 없지만 인간은 인간 이외의 다른 것이 될수 있는 여지기 있기 때문에 불운한 것이라 말하는 의사. 어쩌면 광인 아니더라도 그러하지 않을까. 가끔 인간이 아닌 다른 모습의 존재를 만날때가 있으니 말이다.

 

수술대에 오른 이연희. 평범한 학생인 그녀가 왜 광인 말기 판정을 받게된 것일까. 학교를 중퇴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우리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처음에는 기존에 읽던 청소년문학과 달라 아이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했다. 결국 두번을 읽으면서 광인이라 판정받은 그녀를 광인이라 말할수 있냐는 것이다. 이연희를 광인으로 만들어간 현실. 교실에서의 일들은 그 누구도 광인이 될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녀의 말처럼 누가 광인이고 정상인일 것일까. 과연 우리들을 보통의 사람이라 단정지을수 있는 것일까.

 

도대체 이 수술은 어떤 사람이 받아야 하는 거지요? 누가 광인이고 누가 정상인이라는 걸까요? - 본문 112쪽

 

 

* 이 서평은 한우리 북카페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