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잣거리의 목소리들 - 1900년, 여기 사람이 있다
이승원 지음 / 천년의상상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조금은 민망한 옷차림을 하고 있는 남자가 보인다.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그림의 주인공은 대한제국 관료 이병무라고 한다. 이도영 화백의 시사만평에 나온 그의 모습은 정말 웃음을 자아낸다. 욕심 사납게 부풀어 오른 뚱뚱한 배에 축 처진 젖가슴을 드러내고 훈도시를 입은 채 칼을 찬 모습으로 묘사했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이도영 화백의 시사만평을 접하고나서 <대한민보>와 그 시대를 자신만의 글로 재구성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런 마음에 있었기에 우리는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이다.

 

 

'저잣거리의 목소리들'. 저잣거리의 사전적 의미는 '가게가 죽 늘어서 있는 거리'이다. '장거리'의 잘못된 표현이라 하지만 우리에게는 저잣거리라는 말이 더 익숙하고 친근하다. 저잣거리에서 들리는 목소리들은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아닐까. 얼마전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었다. 우리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투표장으로 향했는데 그들에게 우리의 이야기가 전해질지 모르겠다. 아니 우리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주리라 믿는다.

 

 

저잣거리의 목소리들

1900년, 여기 사람이 있다.

 

사람들이 있는 곳이라면 이야기가 있고 사건이 있을 것이다.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고 정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거라 생각했던 그 시대. 그 시간은 얼마가지 못했다. 역사를 잘 모른다 하더라도 근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다들 울분을 참지 못한다. 속상함이 많은 역사이다. 지나간 시간은 뒤돌릴수 없지만 그 시간만큼은 되돌리고 싶은 마음이다. 아직도 그때의 상처로 많은 아픔을 겪는 사람들이 있기에 참으로 안타까운 시간들이다.

 

이도영 화백의 시사만평으로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만난다. 그 사람들이 살아가는 시대를 만난다.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역사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평범한 사람들의 삶은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인터넷으로 인해 사생활에 보장되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보게된다. 또한 서로의 사생활을 폭로하며 진흙탕 싸움을 하는 사람들을 만날수 있다. 예전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인터넷이 아닌 많은 사람들이 보는 신문에 공개적으로 서로를 비판하는 부부들도 있었다. 부부싸움을 신문을 통해 공개적으로 한다고 생각하니 오히려 그들이 더 대담한 것은 아닐런지.

 

당시 신문 광고를 둘러싸고 벌어진 상황은 어디까지 사생활이고 어디까지 내놓고 떠들 수 없는 부끄러운 일인지, 신문이라는 미디어의 공적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치판단이 미성숙한 시대가 만들어낸 한 편의 촌극이었다. - 본문 78쪽

 

청결과 관련해서는 우리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들이 많다. 그 시대의 사람들은 목욕도 잘 안하고 지저분할거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수 있다. 당시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문 등에 실린 목욕이나 세탁, 이발 등에 관한 기사들을 보면 청결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갑오개혁이 실시되면서 부터는 '흰 옷 금지령'까지 내려졌다. 흰색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염색할 비용과 노동력을 줄이기 위해서 흰 옷을 즐겨 입었다고 한다. 흰옷이 쉽게 더러워지기 때문에 흰옷을 입지 못하게 할 정도였다.

 

시장에 가면 할력이 넘치는 것을 볼수 있다. 그곳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은 대부분 생기가 넘친다. 왁자지껄한 소리는 소음이 아니라 살아있는 소리이다. 이 책에서 만나는 저젓거리 사람들의 목소리도 마찬가지이다.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그것이 역사가 되어 우리들과 만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