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애의 만찬 - 한식 문화로 본 우리의 아름다운 음식 이야기
이영애.홍주영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식 다큐멘터리 <이영애의 만찬>이 책으로 출간되었다. 한식을 통해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지금의 우리들이 음식을 통해 소통하는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였다. 방송을 끝까지 보지 못하고 일부분을 보았기에 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한다. 이야기뿐만 아니라 눈을 사로잡았던 음식들을 보면서 이 책만큼은 꼭 읽고 싶었다. 프로그램 제작이 결정되면서 떠오른 인물은 이영애였다고 한다. 다른 배우도 아닌 왜 이영애였을까. 아마 장금이라는 드라마의 영향이 제일 크지 않았을까한다. 짧게나마 방송을 보고 이 책을 보면서 역시 제작진의 선택이 탁월했다는 생각이다.

 

 

'한식 문화로 본 우리의 아름다운 음식 이야기'라는 부제를 보면 알수있듯이 정말 아름다운 음식들이 등장한다. 우리의 음식들은 입이 아닌 눈으로 먹는 것임에 틀림없다. 보기좋은 떡이 맛도 좋다고 했던가. 먹기에 아까울 정도로 아름다운 음식들이다.

 

 

어릴때부터 입이 호사를 누린 사람이다. 음식을 잘하는 엄마덕에 입맛이 까다로워졌다는 불평을 한적이 있다. 세상의 모든 음식들이 엄마가 만들어주신 것처럼 맛있다는 생각을 했는데 막상 다른 사람들이 만든 음식은 그 맛을 내지 않으니 다른곳에 가서는 제대로 먹지 못할 정도였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솜씨 좋은 엄마덕에 정말 다양한 음식들을 맛볼수 있었다. 엄마와 달리 솜씨가 전혀 없어 한식을 배운적이 있다. 우리의 음식은 정성으로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뚝딱하고 쉽게 만들어지는 음식들이 없었다. 직접 한식을 만들어보니 재료를 준비하고 만들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지만은 않다. 이렇게 마음이 담긴 우리의 한식을 만나는 이야기이다.

 

 

우리 음식에 담긴 소통의 철학, 한국의 맛, 이천 년의 기억, 소통과 화합의 만찬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속에서 한식속에 담긴 문화를 만난다. 우리들은 서민들의 밥상보다는 왕의 밥상을 더 많이 알고 있다. 드라마나 영화속에서도 양반이나 왕들의 밥상을 주로 보았다. 왕이라고해서 특별한 음식을 즐겼던것은 아니다. 의외로 소박한 밥상을 고수한 왕들도 있다고 하니 말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근간으로 세워진 나라이기에 철저하게 절제되고 검소한 생활을 몸소 보여주는 군주를 지향했다고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왕의 밥상이라고 한다.

 

"흉년에 백성들이 먹을 것이 없어 고초를 겪으니 평소 백성들이 먹지 않고 버리는 것으로 찬을 만들어오라. 그리고 단 한가지 밥과 국만으로 수라상을 차리라." - 본문 41쪽

 

 

여행을 다니면서 명소를 만나는 재미도 있지만 역시 맛집 탐방이다. 각 지역이나 나라를 갈때마다 그곳에서의 음식을 맛보는 것만큼 즐거운 일도 없다. 음식을 통해 그 지역의 특성이나 사람들의 삶도 들여다볼 수 있는 것이다. 책에서는 우리나라 팔도의 음식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음식들도 만날수 있다.

 

책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이야기들중에 반가운 것은 <음식디미방>이다. 우연한 기회에 <음식디미방>에 나와있는 어만두를 맛본적이 있다, 숭어를 좋아하지 않는데 이 어만두는 숭어로 만두피를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귀한 음식인줄 모르고 숭어라는 이유만으로 먹지 않았는데 먹지 않았더라면 후회하였을 것이다.

 

우리들이 사람들과 친해지면 제일 먼저 하는것이 무엇일까. 함께 차를 마시고 식사를 하는 것이다. 음식을 먹으면서 우리들은 마음을 열어간다. 소통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편하지 않은 사람들과는 쉽게 음식을 나누지 못한다. 좋은 음식이 있으면 혼자 먹는 것이 아니라 이웃과 좋아하는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한다. 음식이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의 문화를 만나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이야기를 만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