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수학 A형 5개년 수능기출문제 유형탐구 - 눈으로 읽는 세상을 바꾸는 공부법, 신수능 대비 2014년 크로스 수학 2014년
김의중 지음 / 가나북스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그나마 좋아하고 잘했던 과목은 수학입니다. 이과이고 계속해서 관련된 공부를 했기에 나중에는 나의 한계를 느끼며 어려워했지만 지금도 종종 아이들의 문제집을 보며 한두문제씩 풀곤 합니다. 이제 수험생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 아이는 평소 아무 말도 없는 엄마가 자신의 문제집을 푸는 것을 보면 신기한가 봅니다. 물론 어려운 문제는 아이가 설명해주지만 쉬운(?) 문제들은 저도 옆에서 풀어봅니다.

 

 

수능은 먼 이야기라 생각했지만 어느새 큰 아이의 시계는 수능을 향해 맞춰져 있습니다. 좋아하고 전공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 문과를 선택했지만 저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보기에는 이과형 아이입니다.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의 갈림길에서 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였습니다. 문과이기에 수학 A형을 만난 아이. 기존에 만났던 문제집과는 조금 다른 형태의 문제집을 만났습니다.

 

눈으로 읽는 크로스 수학 A

'세상을 바꾸는 공부법'에서 제시한 새로운 규격을 따르는 최초의 수학문제집입니다.

 

표지에 보니 '최초의 수학문제집'이라는 문구가 눈에 뜁니다. 어느 부분이 기존의 문제집과 다른 것일까요. 시간이 얼마남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것을 만나는 것이 조금은 걱정이 되지만 직접 문제를 풀어보고 확인해 나간다면 그건 말그대로 걱정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수학을 잘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많은 문제를 꾸준히 열심히 푸는 방식기본이 되는 문제들을 적당히 선별한 후 이 문제들을 반복하여 완전히 암기하고 이해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문제들은 전자를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방식을 위한 문제집은 시중에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만날수 있게 된 것입니다.

 

문제수가 적당히 적을 것, 한눈에 들어오도록 답안이 문제와 같은 페이지에 있을 것, 여백이 적당히 있어서 중요사항이나 깨달음 등을 메모하기 좋을 것, 공식들을 찾아보는 수고를 줄일수 있도록 관련 공식도 문제마다 써 넣을 것 등이었습니다. - 머리말 중에서

 

 

독특하게 이 책은 '눈으로 읽는' 이라고 표현합니다. 또한 '읽는'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혹시' 읽는' 이라고 해서 오해할수도 있지만 단순히 눈으로 읽으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눈으로 읽는 정도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 말에 조금 공감하는 것은 학창시절 저도 눈으로 푸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호불호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답을 보기 위해 일일이 펼쳐보기보다는 이렇게 한 페이지에 안에 담겨있어 편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제를 푼 후 답을 바로 확인하고 틀린 문제들은 바로 해결할수 있어 좋습니다. 말머리에서 소개한 이 책의 사용법이나 장점들은 눈여겨 본다면 활용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