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엄마라서 감사해요 - 슬픔 대신 감사로 인생을 바꾼 우리 엄마 김희아
김희아.양태석 지음, 최정인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다보면 나에게 닥친 현실이 어떻게해도 바뀌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노력이 부족해서만은 아닙니다. 아무리노력해도 안되는 일을 우리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그럴때 우리들이 할수 있는 것은 그 상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우리의 삶속에 던져진 문제들을 다 해결하면 좋겠지만 해결될 수 없는 문제들도 있습니다. 그 문제들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그 문제를 안고 살아갈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말이 쉽지 내게 닥친 불행한 문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극히 드뭅니다. 대부분 그 상황에 좌절하고 늘 그 문제때문에 속상해하며 살아가는지 모릅니다.

 

얼마전 이 책의 저자 중 한분인 김희아님의 <내 이름은 예쁜 여자랍니다>를 읽었습니다. 그렇기에 저자가 처한 상황이나 어린 시절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겪고 있는 어려움을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저자의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동화책을 출간되었습니다. 안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예지, 예은의 엄마. 안면장애는 아이들에게 생소합니다. 우리나라 장애인구가 많지만 주변에서 쉽게 만나지는 못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회의 편견 때문에 세상에 한발 내딛는 것조차 두렵다고 합니다. 그들이 밖으로 나올수 없게 만든 것은 바로 우리들입니다.

 

'왈가닥 공주'라 불리는 5학년 예은이는 학급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동생 예지또한 회장의 역할을 잘해내고 있는 야무진 아이입니다. 이 두 아이의 엄마는 안면장애 3급 장애인입니다. 이런 엄마의 모습을 아이들도 아닌 동네 아줌마들이 괴물같다거나 아수라 백작 같다면 뒤에서 수군거립니다.

 

사실 우리 집에 있는 두 아이는 장애인을 멀게 느끼지 않고 낯설어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어렸을때부터 가는 곳이 있어 나이차는 많이 나지만 친구처럼 지내는 언니, 오빠들. 처음에는 무서워했던 아이들도 몇년이 지나 이제는 함께 식사도 하고 손도 잡고 다닙니다. 그런 생활을 해서인지 아이는 유독 이 장면에서 화를 냅니다. 아이들은 잘 모르니까 그런 말을 할수도 있지만 어른들이 뒤에서 마음의 상처를 내는 말을 하는 것이 화난다고 합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 때문인지 처음에 만난 이 사건을 보며 아이는 연신 씩씩거리며 책장을 넘깁니다.

 

"예은아, 엄마 얼굴의 이 점은 그냥 점이 아니라 복점이야." - 본문 16쪽

 

책을 내내 우리들은 긍정의 힘을 봅니다. 자신에게 처해진 상황을 어떻게 해서도 바꿀수 없고 감당하기 힘든 문제들입니다. 우리들은 보이는 것만으로 사람들을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 무엇이 있을지에 생각하지 않는 참으로 부족한 사람들인 것입니다. 예은, 예지의 엄마는 태어나면서부터 장애를 가지고 그 장애때문에 버림을 받았습니다. 자신을 낳아준 엄마에게조차 버려진 사람의 마음은 어떠할까요. 그 이후로 따스한 시선과 말보다는 차가운 시선과 냉대를 받으며 지낸 시간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절대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않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 좌절하지 않습니다. 엄마의 그런 무한 긍정의 힘 때문인지 두 아이도 항상 밝고 엄마를 창피해하거나 숨기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엄마, 마스크 벗어요. 벗어도 나 하나도 창피하지 않아요." - 본문 82쪽

 

안면장애인 엄마와 두 아이가 세상을 향해 전하는 따뜻한 이야기입니다. 자신들에게 차가운 시선을 보낸 이들을 원망하지 않고 감내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몇배 더 거친 세상을 향해 당당히 걸어가고 있습니다. 그들이 가는 길에 더 이상의 차가운 시선과 편견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