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명회는 남이 장군을 제거했을까? - 남이장군 vs 한명회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26
임채영 지음, 최상훈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한명회는 자주 만날수 있습니다. 주변 인물이 아니라 한명회를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가 있었던 걸로도 기억을 합니다. 그만큼 역사 속에서 많이 등장하는 인물입니다. 최근 '관상'이라는 영화에서도 한명회를 만났습니다. 문종, 수양대군, 김종서 장군과 같은 큰 비중은 아니였지만 영화 속 중요 인물이였던 한명회. 보통 책사로 그의 이름을 남겼듯이 그 영화에서도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밀린 사건으로 골치가 아파 두통약을 먹을 정도로 힘든 이대로 변호사를 찾아온 한명회. 남이 장군이 그에게 소송을 걸어와 참을수 없다며 이대로 변호사를 찾아온 것입니다. 이번 역사공화국 법정에서는 한명회와 남이 장군의 사건을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태종의 넷째딸인 정선 공주의 아들로 태어난 남이 장군. 세종대왕이 그의 외삼촌이고 1457년 열일곱의 나이에 무과에 장원급제를 합니다. 1467년에 조선개국이래 최대의 반란인 '이시애의 난'을 잠재우고 1468년 스물여덟의 나이에 병조판서의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이렇게 승승장구하던 그가 한명회를 중심으로 한 훈구세력과 예종의 견제를 받게 됩니다. 역모를 꾀했다는 누명을 쓰고 처형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남이장군은 그 사건의 중심에 있는 한명회에게 소송을 건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명회는 어떤 인물일까요.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데 공을 세워 정난공신이 되고 1466년에 의정부에서 최고 벼슬인 영의정이 됩니다. 1468년에는 이번 재판의 사건이 되는 남이의 역모를 파헤쳐 남이를 제거한 공로로 익대공신이 됩니다. 또한 임금으로부터 나라에 공을 많이 세운 원로들에게 주는 궤장이라는 지팡이까지 받을 정도로 왕의 신임을 받은 인물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듯이 한명회는 두 번의 죽임을 당합니다. 1487년 72세에의 죽음과 함께1504년 연산군에 의해 무덤이 파헤쳐지고 시신들을 절단당하는 부관참시를 당합니다. 참으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온 사람이 아닐까합니다.

 

 

누구의 손을 들어주어야하는지 혼란스러운 사건입니다. 우리들의 혼란스러움 속에서 역사공화국에서는 판결을 내립니다. 원고 남이 장군의 손을 들어주며 한명회에게 사죄하고 역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진실을 밝히라고 판결이 내려집니다. 우리들은 이 판결의 내용보다는 사건이 일어날수 밖에 없는 이유와 그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나 재판과정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누가 피고이고 원고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역사 속 인물들이 이렇게 자신의 억울함을 말하게 되는지 의문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지나온 시간들의 이야기를 무조건 믿을수도 없고 그렇다고 의심할수도 없는 부분들입니다. 다시한번 역사를 바르게 바라보고 자신의 생각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