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주현성 지음 / 더좋은책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여기저기서 인문학에 관해 이야기 합니다. 이제 인문학을 접하지 않는 사람들은 뒤처지는 사람이라는 말까지 합니다. 물론 인문학을 접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만 가끔은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주위에 모든 강좌들은 대부분 인문학에 관련된 것입니다. 다른 것들도 인문학과 연관지어 이야기합니다. 모든 것의 기본이 되는 것이기에 우리들이 알아야하고 앞으로도 배워 나가야 하는것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한때의 붐으로 끝나는것은 아닐까하는 걱정도 해봅니다. 언제부터인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는데 잠시의 소동이 아니라 앞으로 우리가 꾸준히 알아가야할 내용이라는 것이 잊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사실, 이런 우려의 말을 해보지만 저또한 인문학의 열풍으로 한발을 들여놓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버릴수 없습니다. 이전에는 어렵다는 생각으로 쉽게 접근하지 못하다가 많은 곳에서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니 조심스럽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인문학을 처음 접하게 된 동기는 조금 불순(?)하지만 하나씩 알아가면서 어렵지만 나름 재미있고 왜 사람들이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지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이제 인문학에 발을 들여놓기 시작한 저이기에 감히 책에 대해 뭐라 이야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깊이 있는 분들이라면 이 책의 내용은 다 알고 있겠지만 저처럼 초보자들에게는 인문학의 길라잡이가 되어주는 책입니다.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내가 살기 이전의 시대, 지금 살고 있는 시대, 앞으로 살아갈 시대를 위해 우리들이 최소한으로 알아가야 할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1권은 접하지 못했지만 지금이라도 2권의 이야기를 만나게 된 것이 개인적으로 다행이라는 생각입니다. 책에서 1권이 인문학의 '뼈'라면, 2권은 '살'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뼈의 내용은 접하지 못했지만 살에 해당하는 2권만큼은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리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람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는 것이 인문학이다. - 머리말 중에서

 

결국 인문학이란 우리와 별개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들의 삶과 역사를 담고 있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5장에 걸쳐 회화, 문예사조, 과학, 사회과학, 미학과 대중문학 등의 다양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제게는 다소 어려운 분야이기에 읽어나가는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살짝 했습니다. 역사적 흐름에 따라 물흐르듯 흘러가는 이야기들은 생각했던거와는 달리 어려움없이 읽어나갈수 있습니다.

 

원시 미술에서 사실주의까지 - 모네이전의 회화

명작들이 수놓은 또 하나의 지성사 - 문학과 문예사조

철학에서 뛰쳐나온 가장 정확한 지식 - 과학의 독립사

사회를 과학한다 - 사회이론의 대가들

아름다움을 철학한다 -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

 

한순간의 인기라 생각하며 인문학을 접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내용들을 보며 우리를 들여다보는 시간을 만들어갑니다. 수박 겉핥기식의 내용이 아니라 깊이 있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기에 인문학에 살짝 발을 담가보려해도 어느새 우리에게 젖어드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책에서 언급했듯이 살이되는 이야기들을 보며 몸이 아닌 마음을 살찌울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