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속의 느티나무
박희주 지음 / 책마루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조금은 예민한 이야기가 될수도 있겠지만 책을 선택할 때 이야기보다는 작가가 누구냐에 따라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아니고 읽는 시간도 제한적이라 내게 주어진 시간에 읽으려하다보니 내가 읽고 싶은 책이나 읽어야할 책을을 만나고 있다. 그래서인지 신인작가나 나에게 익숙치 않은 작가들의 작품은 거의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해서 남들이 말하는 인기작가나 베스트셀러를 읽어야하고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내가 선호하는 작가나 작품에 먼저 손이 가게된다는 이야기이다. 내가 모르는 작가의 작품을 읽을때의 위험(?)은 따른다. 그 책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 나와 맞지 않는 책일수도 있고 읽는것 자체가 시간낭비였다는 생각마저 들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모르는 작가의 작품을 마주할때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서두가 길었던 것은 이번에 만난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는 이번에 처음으로 알게 된 작가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호기심으로 읽은 이 책에 대한 나의 마음은 물음표이다. 아직은 내 느낌을 문장부호 "?"로 남기고 싶다. 섣부르게 나의 감정을 말하기 보다는 이 책의 내용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 한다.

 

이 책에는 표제작인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를 포함해  아홉 작품이 실려있다. 우리 주변에서 만날수 있는 익숙한 이야기들이지만 전적으로 경계가 애매한 느낌이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이야기는 많이 달라질수 있다. 유쾌한 에피소드로 흘려보낼지 이야기속 사건 하나하나에 예민하게 반응을 해야할지는 각자의 몫일 것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 만나게되는 '아내의 나무'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아내가 죽음과 사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 첫 사랑을 만난다. 우리들의 상식으로는 이해할수 없는 상황들이다. 하지만 이건 표면적인 것을 보았을때 이야기이지 그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된다면 '이해'라는 이름으로 그들을 바라보게 된다. 아주 사소한 것들이지만 이렇게 이야기마다 마주하는 상황들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우리들은 다른느낌으로 작품들을 만나게 된다.

 

개인적으로 읽는내내 웃음을 안겨준 작품은 '떠도는 익살의 희화'이다. 한 건물 2층에서 '에덴의 추억'이라는 라이브 카페를 운영하는 장마담과 3층 '생명수 교회'의 김목사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한 건물에 술집과 교회가 있다는 설정만으로도 불협화음이다. 장마담은 3층에 교회가 있어 장사가 잘되지 않는다 생각하고 3층의 김목사는 2층이 술집이기 때문에 신도가 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생각해낸 것은 무엇일까? 장마담은 장사가 잘되지 않으니 장사 잘되게 해달라고 교회를 다니며 기도 하는것이고 김목사는 신도들과 함께 2층 술집이 망하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이 둘의 기도 중 누구의 기도를 들어주실까? 조금은 황당한 상황들이 나를 웃게 한다. 창과 방패. 영원히 뚫리지 않는 방패와 무엇이든 똟을수 있는 창. 과연 둘이 만난다면 어떻게 될까?

 

믿는다.

안 믿는다.

한 치도 물러서지 않는 두 사람.

경찰은 조서에 이렇게 썼다.

<하나님에 대한 술집 주인의 믿음은 매우 확고했으나 목사의 믿음은 너무 형편없었다.> - 본문 51쪽

 

다소 황당한 상황들의 연속이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이야기마다 느끼는 것은 우리의 삶속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있는 일들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거부감이 들지않고 조금은 다르게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