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멘토를 만나다 2 - 포트폴리오작성 비법, 면접 실전 100% 대비, 고교 프로파일 완벽분석 입학사정관제, 멘토를 만나다 2
전용준.송민호 지음 / 미디어숲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제일 부러운 사람이 아이들을 좋은 대학에 보낸 사람들입니다. 좋다는 표현은 그렇고 아이들이 원하는 대학에 들어갔다는 표현이 맞을듯 합니다. 성적에 맞춰 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꿈이 있고 그 꿈을 향해 원하는 학과와 대학을 선택한 아이들. 초등학교때만해도 먼 얘기처럼 들렸지만 어느새 고등학교 2학년인 아이가 있기에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니 아무리 아이한테 관심이 없는 부모라하더라고 대학입시를 앞두고 긴장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대학에 입학할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 책에서는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이야기를 만날수 있습니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입시전형이고 정보도 많지 않아 막연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입시를 앞둔 학부모임에도 아이를 위해 하나도 하는것이 없는 엄마입니다. 얼마전 코엑스에서 있었던 수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나 대학에서 하는 입시 설명회를 아이가 혼자 다니며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함께 다니거나 일분일초라도 아끼기 위해 엄마들이 이러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고하지만 전 가만히 있고 아이가 혼자서 알아보고 있으니 미안한 마음이 큽니다. 한편으로는 엄마에게 전해듣기보다는 자신이 직접 보고 들어서인지 피부에 확실히 와닿고 자신의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바로 알게되니 지금보다 더 노력하려는 마음이 생깁니다. 이번에도 이 책을 저보다는 아이가 먼저 읽었습니다. 아이가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고있기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본 책입니다.

 

아무래도 실질적인 도움을 얻고자하는 것이 이 책을 보는 아이들의 마음일 것입니다.실제 입학사정관제로 입학을 한 선배들의 이야기를 만날수 있습니다.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 합격비결을 보며 단순히 학교 공부에 충실한 것만으로 뭔가 부족한점이 있습니다. 꿈이 있는 친구들은 그 꿈을  위해 미리부터 관련 활동들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공부에만 매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미리 생각해보고 그와 관련된 일을 하나하나 준비해야 합니다. 아쉽게도 아이가 원하는 학과는 아니였지만 다른 학과나 대학을 보면서 어떠한 준비를 해야하는지 하나씩 일아갑니다. 두루뭉술한 이야기가 아니라 구체적인 제시로 아이들은 자신들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해야한다는 것을 느낍니다.

 

선배들의 경험뿐만 아니라 면접에 대한 세세한 내용들도 알수 있습니다. 대학별 면접 반영과 면접의 기본자세, 답변전략, 이미지 메이킹은 확실히 아이들에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면접이 당락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에 그만큼 중요한 관문입니다. 우리들은 다른 활동에 비해 면접은 준비하는 기간이 그리 길지 않고 다른 것에 비중을 두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책을 보니 시험을 앞두고 단기간에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면접도 1학년때부터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아직 면접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기에 책을 보며 지금부터라도 아이와 함께 준비하려 합니다.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세 가지 조언

1) 1학년 때부터 시작하라

2) 경험으로 준비하라

3) 멘토를 만나라

 

혼자 공부하고 입시전형에 대해서도 혼자 알아보고 있는 아이. 그렇기에 이 책을 만난것은 또 다른 멘토를 만났다는 느낌을 받게 합니다.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고 모르는 부분들도 많았는데 책을 보며 자신에게 맞는 것은 무엇이고 채워나가야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갈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