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워하지 않을래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
클로딘 르 구이크프리토 지음, 최정수 옮김 / 자음과모음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다른 이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얼마나 할까? 고맙다는 말을 하기보다는 고맙다는 말을 들으면서 살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 어쩔수없이 다른 사람들보다 고맙다는 말을 해야하는 아이가 있다.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테오는 두 다리가 불편하고 한쪽 팔마저 자유롭게 움직일수 없다. 자신의 휠체어를 '알베르'라 부르며 잠자는 시간 외에는 휠체어에서 생활하는 테오.

 

 

가족들과 떨어져 장애를 가진 친구들과 센터에서 생활하며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 테오.간호조무사 에블린 누나는 잠에서 깬 테오를 휠체어에 앉혀주고 침대 정리를 하며 옷을 입혀준다. 생활 담당 파트리크 선생님은 아침 식사를 준비해 주고 물리 치료사 크리스틴 아주머니의 물리치료와 운동을 도와준다. 이처럼 아침에 눈을 떠 자기 전까지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그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한다. 동생 빅토르는 엄마가 '잘 잤니' 라고 물을때와 그릇에 우유를 따라 주었을때 두번 고맙다는 말을 했지만 테오는 학교 가기 전에 벌써 고맙다라는 말을 아홉 번이나 했다. 열두 살인 테오가 십년을 휠체어를 타면서 고맙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아야 하는 것이다. 이제는 습관처럼 되어버린 고맙다는 말을 않으려는 테오.

 

이건 불공평하다! 나는 '고마워요'라는 말과 '부탁인데요'라는 말이 지긋지긋하다. 언제나 사람들에게 뭔가 부탁하고 예의 바르게 굴어야 하는 게 지긋지긋했다……. 그래서 나는 결심을 했다. 오늘부터 끝이다. 이제 '고마워요'와 '부탁인데요'라는 말을 빅토르보다 더 많이 하지는 않을 것이다. - 본문 10쪽 

 

 

우리들도 장애를 가진 친구들을 보면 뭔가 도와주어야한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우리는 배려라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그들에게는 불편함일 수도 있을 것이다. 나에게도 장애를 가진 친구가 있다. 다리가 불편해 걷기가 힘든 친구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한두가지가 아니였다. 지금이야 그런 일이 그리 많지 않지만 예전에는 아저씨들이 미처 기다려주지 않고 버스가 떠나기 일쑤이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간이 그 친구에게는 너무도 짧았다. 친구와 초록불이 켜져 있는 동안 그 길을 건너는 것이 힘든 일이다. 뛰다시피 하지만 그 친구가 건너기에는 턱없이 짧은 시간이다. 그 친구와 함께 보낸 시간이 없었다면 끝까지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일들이 많았을 것이다.

 

20년 동안 친구라는 이름으로 함께 온 시간들. 그 친구가 나에게 먼저 손을 내민 것은 도움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함께 길을 가는 친구가 되고 싶어서였다고 한다. 대부분 자신을 처음 보는 사람들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다리가 불편한 이유를 넌지시 물어본다고 한다. 하지만 난 다른 시선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자신을 대해주고 다리가 왜 아픈지에 대해서도 묻지않아 친구가 되고 싶었다고 한다. 이렇게 말하면 나의 자랑이 될려나^^ 어찌되었든 그 친구는 다른 친구들과 마찬가지로 나에게 똑같은 친구이다. 눈이 나쁜 친구가 안경을 썼듯이 그또한 다리가 조금 불편할뿐인 내 친구이다.

 

테오가 바라는 것도 도움이 아닐 것이다. 힘들지만 스스로 뭔가를 하고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는 사람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사람일 뿐이다. 힘들고 느리지만 스스로 옷을 입고 자신이 할 일을 찾아 하나씩 해나가는 테오. 우리들도 테오를 우리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친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친구라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