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조선미 지음 / 쌤앤파커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문제 부모는 있어도 문제 아이는 없다' 라는 말은 만고의 진리가 아닐까? 아이를 낳았다고 다 부모가 되는것은 아니라 생각한다. 나또한 '부모' 라는 이름으로 살아가지만 가끔은 아이들에게 부모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하고 있는것인지 의문이 들때가 있다. 아이를 어떻게 키우라고 누가 일일이 가르쳐 주는일은 거의 없다. 결국 나의 부모를 보며 배운 것들이 내가 부모가 되어가는데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부모의 역할이 더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말로 알려주지 않아도 어렸을때 보고 느낀 것들이 내가 부모가 되어가는데 나라는 사람이 살아가는데 어느샌가 스며들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부모가 만들어 가는 것은 아닐 것이다. '만든다'라는 표현보다는 함께 성장해 나가는 존재가 아닐까한다. 가끔 아이들은 이렇게 키워야지라는 일반적인 생각들 때문에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여 아이들을 조정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간혹 어긋난 사랑으로 아이들을 온전하게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누구의 도움없이는 아무것도 할수 없는 존재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우리들은 아이들의 성공을 꿈꾸며 공부 잘하는 아이들로 키우기 위해 여러가지로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공부 잘하고 좋은 대학에 진학하여 좋은 직장을 다니기 원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렇게 자라는 아이들은 많지 않다. 아이들이 공부를 못하는 것도 좋은 대학을 가지 못하는 것도 우리들의 탓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부모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좋은 대학을 보내는 것으로 우리의 임무(?)를 충실해 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들은 거의 공부에 대해서만 생각하느라 다른 부분들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이 무엇을 원하고 그 아이들이 행복한 순간이 언제인지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본적이 없는듯하다.

 

EBS <우리 엄마가 달라졌어요>의 메인 전문가로 양육에 도움을 주고 있는 조선미 교수가 전하는 이야기들은 아이들을 잘 키우기 위한 노하우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부모들이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 부모들의 모습에 따라 아이들은 얼마든지 변할수 있다. 아이들이 잘못하고 있다고 탓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우리들의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 나가야 하는 것이다.

 

아이의 모습을 비춰주는 첫 거울은 부모이다. 아이에게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주는 메시지는 그대로 아이의 자아상이 된다. - 본문 103쪽

 

거울. 아이들이 여지껏 거울로 본 모습은 우리의 모습이였던 것이다. 그 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공부라는 것에 매진하느라 우리들은 아이들에게 제대로 비춰주지 못했던 것이다. 아이에게 공부 잘하는 사람보다는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가끔 성적이 떨어지면 속상한건 사실이지만 아이가 공부는 못하더라고 다른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다.

 

21강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들은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의 거울이 되어야 하는지 알려준다. 이 세상 누구보다 소중한 그 아이들을 위해 아직도 '공부 하라고' 말하는 엄마는 없을 것이다. 그 아이들이 이 세상에서 공부를 통해서만 행복을 찾는 어리석음은 없어야하자 않을까? 어떠한 시련 속에서도 다시 일어날수 있는 힘을 얻고 공부를 못해 자괴감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잘하는 다른 것을 찾을 수 있는 아이로 자라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 '부모'라는 이름을 가진 우리들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다정한 눈빛과 부드러운 손길, 그것만으로도 아이들은 세상에 나아갈 힘을 얻고, 어떤 실패에도 넘어져 포기하지 않는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고 애착의 정도에 달려 있다. -본문 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