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끕 언어 - 비속어, 세상에 딴지 걸다
권희린 지음 / 네시간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 공익광고에서 청소년들이 비속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대부분 말하지 못하는 경우들을 많이 보였습니다. 자신들이 늘 쓰는 말 대신 어떤 말을 해야할지 몰라 답답해 하는 아이들. 그 아이들에게 비속어는 일상어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가끔 대중교통을 이용해 중, 고등 학생들과 같이 타면 의도하지 않아도 그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제가 낯이 뜨거워질 정도입니다. 대부분 욕설을 사용하고 알지 못할 외계어를 사용해 도통 무슨말을 하는지 알수 없을 정도입니다. 이 친구들에게 비속어는 나쁜말이기 보다는 자신들이 사용하는 일상어인 것입니다.

 

B급 언어는 국어 교사 겸 사서 교사가 직접 현장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며 접한 이야기들이라 생생하게 전해 옵니다. 아이들에게 고운 말을 사용하라고 하지만 그 말이 쉽게 통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어떻게 그런 말을 먼저 배우는지.

 

개인적으로 비속어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마음 속으로는 종종 저도 사용합니다. 괜시리 그 말을 하고 나면 속이 시원해집니다. 미운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 못하니 속으로 종종 미운 말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직접 그 말을 할 용기(?)는 없어 늘 속으로만 하는 제가 이 책속의 다양한 비속어들을 만나니 조금은 생소하고 글로 읽지만 내가 이런 말을 듣는다면 그리 기분이 좋지 않을 것 같네요.

 

속뜻을 알고 비속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이 얼마나 될까요?  진짜 의미를 안다면 그리 쉽게 말을 하지 못할 것 같은데. 이 책이 도착하자마자 청소년기에 있는 아이가 관심을 가지고 이 책을 읽습니다. 아이는 친구들이 사용하는 단어라 그런지 낯설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는 집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학교에서 친구들과 대화할 때는 사용하는 말들이겠죠. 내 아이는 이런 말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결국 우리 아이도 평범한 아이기에 친구들과 있을때는 사용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기에 더더욱 이 책을 읽는 것이 반가운 마음입니다. 아이가 친구들이 사용하는 단어의 어원을 안다면 그리 쉽게 사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무조건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그 어원을 보며 한번쯤은 생각해보고 사람들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입니다.

 

표준어는 아니지만 이것을 대체할 다른 말들로는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사람마다의 말버릇이기는 하지만 어떤 상황이나 느낌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말이 떠오르지 않을 때 쓰는 이런 말들은 허용해야 하지 않을까? - 본문 50쪽

 

이제 보니 저도 뻘쭘하다라는말을 사용합니다. 사실, 제가 좋아하는 말이기도합니다. 내성적이고 낯가림이 있는 성격이라 다소 낯선 환경이나 낯선 사람들을 만나면 느끼는 감정입니다. 뻘쭘하다의 어원은 '민망하다', '어색하다'는 말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부사인 '얼쯤'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측한다고 합니다. 저자의 말처럼 이런 어색한 상황에서는 '뻘쭘하다' 라는 말 외에 다른 감정으로 표현되기는 어려운듯 합니다. 비속어이긴 하지만 그렇기에 제가 계속 사용하는 표현인지 모릅니다.

 

일상적인 언어나 휴대폰으로 문자를 주고 받을때도 대부분 비속어를 사용하는 아이들. 물론 악의적으로 상대방에게 사용하는 경우는 우리들도 반겨줄수 없지만 가끔은 재미를 위해 누군가가 미워 속으로 하는 말이라면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지 않을까요? 친구 중에도 대화를 하며 비속어를 많이 사용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우리들은 그 친구가 비속어를 사용한다고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에게 늘 웃음을 주는 그 친구는 모임의 활력소입니다. 가끔은 지루한 일상 속에서 우리들의 활력소가 되고 있을지도 모르는 비속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