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주변을 둘러보니 책을 가까이 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 남들을 보기 이전에 나만 보더라도 책과 그리 가까이하고 있지 못하는게 사실이다. 책은 나에게 있어 어떤 의미일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책을 읽는 것이 좋다고 말을 하지만 어떤 점이 좋은지 직접적으로 느끼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사실, 지금도 책을 읽기는 하지만 흉내내기가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든다. 다른 사람들이 읽으니까 따라 읽고 이 책만은 꼭 읽어야한다고 하니까 읽지만 그 안에서 내가 얻는것은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가고 있는지 늘 의문이다. 어른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도 책읽기에 서툴고 어떤 책들을 접해야하는지 혼란스러운 한 사람으로 이 책을 만난 것이 반갑다.

 

얼마 전 개봉한 <라이프 오브 파이>의 원작인 <파이 이야기>의 작가 얀 마텔. 2007년 4월 16일부터 2011년 2월 28일까지 격주로 캐나다 수상 스티븐 하퍼에게 101통의 편지와 함께 101권의 책을 선물하였다고 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작가가 하퍼 수상에게 쓴 편지와 어떤 책들을 추천했는지 알수 있다. 추천한 책은 참으로 다양하다. 아이들이 어렸을때 함께 읽었던 모리스 샌닥의 그림책 <괴물들이 사는 나라>, <깊은 밤 부엌에서>부터 많은 이들이 읽은 고전 <노인과 바다>까지 많은 책들이 있다.

 

소설과 희곡과 시는 인간과 세계와 삶을 탐구하는 가공할 만한 도구이다. 지도자라면 인간과 세계와 삶에 대해 당연히 알아야 한다. 따라서 나는 열렬하게 성공을 바라는 지도자에게 "국민을 효과적으로 이끌고 싶다면 책을 광범위하게 읽으십시오!" 라고 말해주고 싶다. - 서문 중에서

 

책을 추천하는 이유에 대한 글을 보며 알고 있었던 작품들이지만 내가 미처 보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만나고 읽지 못했던 작품들을 만날때는 작가가 말하는 것에 중점을두고 작품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아직은 책읽기에 서툴고 매번 문학작품을 접해야지 하면서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던 내게는 도움을 주는 책임에는 틀림없다. 아직은 그가 책을 추천하는 이유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할수 없지만 언젠가 다시 읽으면 지금과는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한다. 아니 달라지기를 바라본다.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아 작가가 전하는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들일수 밖에 없지만 좀더 많은 책을 깊이 있게 읽어나가며 작가가 101권이라는 책을 추천한 이유를 나만의 방식으로 찾아내고 싶은 욕심마저 들게 하는 책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작가가 추천하는 책을 보며 이 책을 나도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할것이다. 나또한 추천하는 책들 중 아직 읽어보지 못한 책들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궁금해서 읽어보고 싶고 읽어 본 책들은 내 생각보다는 작가가 추천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며 다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누군가에게 책을 추천한다는 것은 사실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내가 읽고 어떠한 점이 좋았다라고 생각이 들어도 상대는 그런 생각을 가지지 못할수도 있다. 물론 객관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책이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개인적으로 느낌이 다른 책들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사람도 아닌 한 나라의 지도자에게 추천하는 책이라하니 분명 일반적인지는 않을 것이다. 개인의 성장을 아닌 나라의 성장과 그를 믿고 따르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성장할수 있도록 하는 책을 만나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