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똑똑해 - 성적표에 나오지 않는 아이의 숨은 지능
토마스 암스트롱 지음, 김정수 옮김 / 미래의창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엄마들은 한번쯤 우리 아이가 천재는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커가면서 그런 생각은 점점 줄어듭니다. 아니, 공부라는 잣대로만 아이들을 평가하다보니 아이들의 숨어있는 재능을 못보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개인적으로 공부가 전부는 아니라는 생각에 아이들에게 좀더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합니다. 하지만 가끔은 현실이라는 벽 앞에 아이들을 공부라는 틀 안에 가두고 그것으로 아이들을 평가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게 됩니다. 조금은 과장되기는 하지만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보다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엄마가 힘을 주고 다른 엄마들도 부러워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다보니 가끔은 다른 아이들과 비교를 하며 아이의 진짜 모습은 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엄마가 되고맙니다.

 

학창시절 아이큐 검사를 한 기억이 있습니다. 실제로 상담을 하며 선생님께서 아이큐 검사 결과를 말씀해주시며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다고 혼내신 기억이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지능지수만으로 아이들을 평가하는 실수를 하였습니다. 가드너 박사의 다중지능이론에 따르면 우리 모두는 여덟가지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우리들은 아직까지 지능지수로만 아이들을 보려하는 어리석음을 보입니다. 가드너 박사의 다중지능이론 여덟가지는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신체운동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입니다.

 

늘 언니와 비교되는 작은 아이. 여자아이임에도 차분하지 못하고 공부보다는 노는 것이 좋은 아이. 그 아이가 오랜시간 집중력을 보이는 것은 운동입니다. 7년이 넘게 합기도를 하고 있는 아이. 공부를 못한다고 늘 주위 사람들에게 소리를 듣지만 이 친구는 신체운동지능이 높다는 것을 책을 보며 알게 됩니다. 자신이 관심이 없는 공부를 하라고 하며 아이가 가진 신체운동지능을 모르고 지나왔다는 생각이 드네요.

신체운동지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몸으로 배우고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란 의미입니다. - 본문 132쪽

 

오지랖이 넓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아이. 주위 사람들의 일에 관심이 많고 차분하지 못하고 운동만 좋아하는 아이라고 가족들은 걱정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어른들도 주위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는데 이 아이는 세세한 것까지 신경을 쓰며 관찰을 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친구들이나 주위 사람들을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것을 보니 인간친화지능이 높은 아이인가 봅니다.

인간친화지능인은 진심으로 다른 친구들을 염려하고 그 친구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합니다. - 본문 164쪽

 

다른 사람도 아닌 언니와 비교당하며 늘 무언가 부족하다고 생각이 들었던 작은 아이. 언니가 가진 지능과 전혀 다른 지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인정하지 못했던것은 아닌가 합니다. 사람마다 타고난 재능이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들은 공부만으로 아이들을 바라보고 있으니. 이 책을 보며 늘 언니와 비교당하며 속상해 했을 작은 아이에게 미안한 생각이 드네요. 항상 웃는 얼굴로 합기도 운동복을 입고 온 동네를 다니며 많은 사람들과 친분을 쌓아가는 아이. 책을 보며 다시한번 그 아이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응원해주는 엄마가 되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