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치가 최고야
임수정 글, 구은선 그림 / 장영(황제펭귄)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김치 없으면 못 사는 아이들. 김치 하나면 밥 한그릇 뚝딱. 그래서인지 다른 집보다 유난히 김치를 많이 준비해야 합니다. 온 집안 식구가 모여 김장을 준비할때도 아이들은 자신들이 많이 먹는다는걸 알기에 작은 것 하나라도 도우려 합니다. 이렇게 함께 준비해야 만든 김치를 1년 내내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김치가 최고야>에서는 김치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누나가 쓴 기사 '한국의 김치, 우주식품으로 선정되다'가 학교 신문에 실립니다. 무슨 내용인지 잘 모르겠다는 동생에게 누나는 김치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알려줍니다.
배추 김치에 들어가는 재료를 준비해요
김치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지만 우선은 우리들이 가장 많이 먹는 배추 김치를 만들때 들어가는 재료를 알아봅니다. 평소에도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은 김치가 아닐까 합니다. 아이가 할머니를 따라 시장에 김치 만드는 재료를 사러 가면서 힘들다는 말이 자신도 모르게 나온다고 합니다. 아직 김치를 만들기 시작한 것도 아니고 재료 준비하는데 이리 힘든줄 새삼 알게 됩니다. 김치 한 가지를 만드는데 그 안에는 참으로 많은 재료들이 들어갑니다. 그 재료들은 무엇이고 어떤 것들이 좋은지 자세히 알려주니 아이들이 이 책을 보고 직접 가서 살수도 있겠는데요^^
우리는 보통 배추 김치를 생각하지만 참으로 많은 김치의 재료들이 있습니다. 총각무, 순무, 열무, 갓, 무, 오이, 고들빼기 등 참으로 많은 재료들이 김치를 만드는 재료가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재료를 준비했다면 이제는 김치를 만들어봐야겠죠. 먹을땐 금장 뚝딱 사라져버리는데 재료를 준비하는 것만큼 만드는 과정도 만만치 않습니다. 아이들은 김장을 할때 늘 지켜보았기에 이 과정이 얼마나 힘든지 알고 있답니다.
이렇게 힘들게 만든 김치는 1년 내내 먹어야 하기에 보관도 잘해야 합니다. 지금은 김치 냉장고에 보관하지만 어렸을때 마당에 김장철만 되면 아빠가 마당 한쪽을 삽으로 열심히 땅을 파던 생각이 납니다. 장독대를 묻고 밤에는 엄마를 따라 손전등을 가지고 가서 장독대 안을 잘 들여다볼수 있도록 불을 비추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처럼 바로 냉장고를 열면 있는 것이 아니라 마당 한 켠 장독대 안에 있던 김치. 추운 겨울에는 고작 마당에 나가는 일인데도 가기 싫어 투정을 부렸는데 이제는 그리운 추억이 되었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이런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없다는 것이 살짝 아쉬운데요.
김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만 인기있는 식품이 아닙니다. 맛만 좋은 것이 아니라 건강식품으로 세계가 인정을 할 정도입니다. 또한 우주식품으로 선정되었으니 참으로 자랑스럽다는 생각이듭니다.
"아빠, 김치가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도 선정됐대요." - 본문 중에서
매일 식사때마다 만나는 김치. 그 김치를 먹으면서도 그 안에 담겨있는 이야기들을 미처 알지 못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보며 우리 김치에 대해 다시한번 알아가는 소중한 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