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 1 - 도원결의 열한 살에 읽는 고전 만화 8
김우영 글.그림 / 파랑새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삼국지를 세 번 이상 읽지 않은 사람과는 인생을 논하지 마라."

이 말은 누구나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말을 들으니 저또한 인생을 논할 자격이 없는듯 합니다. 학창시절 정말 힘들게 이문열 작가님의 삼국지를 읽었습니다. 사실 읽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삼국지에 열광하고 왜 읽어야하는지 그당시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개인적으로 흥미없는 이야기들을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읽지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나 다른 책들의 이야기를 접하면서 다시 한번 삼국지를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됩니다. 이제야 어렴풋이 왜 세 번 이상 읽어야하는지 그 안에 담긴 이야기가 무엇인지 알아가는 참으로 부족한 사람입니다. 아이들은 이런 실수(?)를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삼국지를 접합니다. 그 방대한 내용을 접하기에는 아직 버겁다는 생각에 우선은 재미를 느끼며 이야기를 알아갈 수 있도록 만화책으로 삼국지를 만납니다.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 1권에서는 도원결의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복숭아꽃이 만발한 뒤뜰에서 의형제를 맺은 유비, 관우, 장비. 성은 다르나 한마음 한뜻이 되어 위로는 나라에 충성하고 아래로는 백성을 평안케하고 태어난 날은 다르지만 한날한시에 죽고자 하늘에 맹세하는 세 사람. 서기 200년경 400여년에 걸쳐 중국 대륙을 지배해 온 한나라 왕조는 환제 때부터 혼란이 시작됩니다. 조정은 부패하고 나라가 어지러워지니 머리에 누런 두건을 쓴 도둑 떼가 벌 떼처럼 일어납니다. 황건족의 세력이 엄청나게 불어나서 관군도 토벌하기 힘들어지자  세 사람은 황건족을 토벌하기 위해 의논을 합니다. 세 사람이 힘을 모아 황건족 토벌에 나서고 혁혁한 공을 세워 동탁에게 벼슬을 제안받지만 거절하며 자신들의 자리에서 일을 묵묵히 할뿐입니다.

 

어릴 적 삼국지를 접하며 참으로 많은 인물들이 나와 읽으면서 인물관계도를 그려가며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방대한 역사 속의 많은 사건들과 인물들을 만납니다. 이 책에서도 세 사람만큼 유명(?)한 조조 뿐만 아니라 동탁,원소, 여포, 원술 등의 인물을 만납니다. 동탁을 토벌하고자 하는 조조의 격문을 보고 17개 지방에서 17제후가 모입니다. 이 가운데 북평의 태수 공손찬 휘하의 유비, 관우, 장비도 참가를 합니다. 동탁을 토벌하고자 모였지만 각자 다른 야망을 가진 17제후들. 이들끼리의 싸움을 예고하며 1권은 끝이 납니다.

 

 

시리즈의 특징은 다음 이야기를 궁금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역시나 이 책도 1권을 읽으며 2권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아이들을 궁금하게 만듭니다. 처음 삼국지를 접하는 아이들에게 쉽게 접근할수 있게 만든다는 생각입니다. 방대한 역사속 인물들과 사건을 만나며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 이제야 어렴풋이 왜 세 번을 읽어야하는지 알아가는 부족한 엄마와 엄마처럼 그런 실수를 하지 않으려는 아이가 함께 읽은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 2권에서 17제후들의 싸움 속에서 유비, 관우, 장비는 어떻게 대처할지 궁금해하며 1권을 마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