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 푸른도서관 53
문영숙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까레이스키(고려인)러시아를 비롯한 독립연합에 살고 있는 한국인 동포를 이르는 말입니다. 우리 민족이지만 이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로 돌아갈 수 없고 자신이 살았던 터전에 돌아갈 수 없었던 슬픈 운명을 가진 사람들이였습니다.

 

아이가 교과 과정에서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주요 사건이나 주요 인물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아이는 책을 통해 까레이스키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도저히 있을수없는 일이고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이 벌어졌었다는 사실에 아이는 슬픔보다는 화가 난다고 이야기 합니다.   

 

1924년 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신한촌에서 까레이스키로 태어난 동화. 어느 날 영문도 모른체 동화네 가족은 정든 집을 떠나야 합니다. 소식이 없는 아버지는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상황에 할아버지, 만삭인 엄마, 오빠와 함께 내무인민위원의 지시에 따라 목적지도 모른체 간단한 가재도구와 씨앗만을 가지고 기차에 오릅니다. 어디로 가는 것이며 왜 가야만 하는지도 모르고 힘없는 사람들은 그들이 시키는 대로 움직일 수밖에 없습니다.

 

용기를 냅시다. 스스로 포기하면 죽는 거요. 죽음한테 지지말고 의지를 가집시다. 서로서로 체온을 맞대고 견뎌야 해요. - 본문 108쪽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사람들은 기차 안에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생리적인 현상을 해결할수도 없는 열악한 환경. 이들은 사랑으로서의 기본적인 대우도 받지 못하고 어딘지 모느는 곳을 향해 정처없이 가고 있습니다. 40여일의 긴 시간을 추위와 배고픔과 싸우며 이들이 도착한 곳은 풀한포기 나지 않는 척박한 땅에 말그대로 버려졌습니다. 기본적인 생계를 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해주지 않고 내버려진 것입니다.

 

황무지 같은 낯선 땅에서 앞으로도 겪어야 할 힘든 일들이 수없이 많을 텐데 누구 탓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까레이스키들의 아픔이고  불행입니다. - 본문 135쪽

 

어린 동화는 기차를 타고 오는동안 사랑하는 엄마를 잃고 이 곳에 와서 오빠와 할아버지마저잃게 됩니다. 어린 소녀가 감당하기에 힘든 상황에서도 끝까지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이 우리에겐 더 큰 슬픔을 안겨 줍니다. 그 어린 소녀가 살아남기위해 강해질수 밖에 없는 슬픈 현실을 보며 우리의 아픈 역사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강제이주로 억울한 삶을 살았던 그들은 우리의 역사가 남긴 상처들입니다. 그 상처를 그때는 몰랐던 것을 부정할수는 없을 것입니다. 지금에서야 상처를 보며 마음 아파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하는 마음도 듭니다. 어찌보면 들쳐내고 싶지 않은 상처일지도 모릅니다. 그 상처를 들여다보면 더 마음이 아플테니 잊고 싶은 일들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 상처가 아물지 않고 아직까지 쓰린 상처를 안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을 치료해주어야 하는것은 우리들의 몫인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