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아이 ㅣ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 마음의 준비, 시간의 준비,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수건. 손수건이 없다면 휴지도 상관없다. 마음의 준비는 다른게 아니라 혹여라도 자책하지 말라는 것이다.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부끄러운 자신을 발견하며 자책을 하게 되니 절대 그런 마음을 가지지 않기를. 또한 책을 한번 읽기 시작하면 중도에 멈출수 없으니 넉넉한 시간을 준비하여 읽기 시작하길. 손수건이 왜 필요한지는 읽어보시면 알게될듯^^
우리는 아직까지도 이런 이야기를 해야만 하는 것일까? 나와 다른 사람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고 차별을 하지 말자는 이야기를 더 이상 하지 않는 시간들이 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책을 읽는 이 순간에만 양심이라는 것이 꿈틀거리다가 책을 덮는 순간 일상으로 돌아오는 우리가 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최소한 이 책을 읽는 우리들만이라도 가면을 벗어야 할 것이다.
선천적 안면기형으로 태어난 어거스터 폴먼. 홈스쿨을 하던 오기는 학교를 가기 위해 준비를 하는데 막상 많은 아이들 앞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쉽지 않다. 자신의 모습이 싫어 헬맷을 쓰고 다니고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지 않는 오기. 그 아이는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볼때의 놀라는 얼굴을 보고싶지 않다. 괴물. 사람들이 자신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다.
"언제까지 오기를 보호해 주겠어요. 하룻밤 자고 일어나면 이건 오기의 현실이 아닌 척, 그렇게 살 수는 없잖아요. 왜냐하면 이게 현실이니까요. 우리는 오기가 현실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줘야만 해요. 언제까지 요리조리 피해 다니면서 살 수는 없잖아요." -본문 20쪽
장애아를 둔 부모의 소망은 아이보다 하루 더 사는 것이라고 한다. 이 세상에 아이 혼자 남겨지는 것을 볼수 없는 부모의 마음. 그들이 평생 마음의 상처를 가지는 것은 자신의 아이가 장애를 가졌다는 것이 아니라 그런 아이들을 품어주지 못하는 세상 때문일 것이다.
오기의 부모도 아이가 학교에서 받을 상처를 알기에 쉽게 결정하지 못한다. 가혹하지만 그런 시선을 이겨내야하는 것은 오기의 몫일지도 모르겠다. 그 어린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무거운 짐을 우리가 짊어지게 만든 것이다.
해피엔딩이다. 책에서 만나 오기는 자신을 그냥 아이로 바라보는 친구들도 생기고 항상 자신의 편에서 믿고 응원해 주는 선생님들이 계신다. 하지만 현실에서도 오기가 해피엔딩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그런 삶을 살기를 바라지만 자신있게 그렇다고 말하지 못하겠다. 서두에 자책하지 말라고 이야기 했지만 우리는 그럴 수 밖에 없다. 과연 오기를 보고 놀라지 않을수 있을까? 오기를 그냥 아이로 바라볼 수 있을까? 하지만 우리의 마음은 움직일 것이다. 세상의 많은 오기들은 모두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위대한 사람들이니...
어거스트는 그냥 아이일 뿐이다. 지금껏 본 중에 가장 이상하게 생긴 아이. 하지만 그냥 아이. - 본문 1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