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의 꿈 푸른숲 역사 동화 5
배유안 지음, 허구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고학년이 되면서 교과과정에서 역사를 배우기 시작해 역사 관련 책을 많이 읽게 된다. 통사를 다루고 있는 책은 물론 역사 동화까지. 사실, 아직 전체적인 흐름의 역사를 알지 못하고 정확한 내용을 알지 못하니 동화 속 이야기들을 보면서 역사를 하나씩 알아간다. 역사 동화를 읽다보면 아이가 관련된 인물이나 사건, 시대적 배경을 알아가는 것은 물론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역사를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역사이야기를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점으로 보며 조금이나마 이해의 폭을 넓혀가지 않나하는 생각이 든다.

 

배유안 작가님의 <초정리 편지>도 참으로 색다른 시각으로 아이가 역사를 접근했는데 이번에 만난 <서라벌의 꿈>도 역사가 말해주지 못한 이야기까지 들여다볼수 있다. 삼국통일하면 떠오르는 인물들이 있다. 김춘추와 김유신을 빼놓을수 없으며 학창시절 시험에 꼭 출제되는 삼국통일의 의의를 열심히 외웠던 기억이 있다. 그만큼 삼국 통일은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고 지금도 아이들은 배우고 있다.

 

하지만, 그런 큰 사건 속에 숨은 사람들. 그 사람들의 삶은 우리는 알지 못하고 있다. 크고 작은 전쟁에서 가장 힘든 삶을 살아야 했던 그들의 이야기는 누구도 말해주지 않았다. 아버지가 전쟁에서 돌아가시고 춘추공의 배려로 그 집에서 기거하게 된 부소는 춘추공의 딸 고타소와 아들 법민과는 신분의 차이를 넘어 친구처럼 지내고 있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해 나라는 혼란스럽고 징집령이 떨어져 결국 군사가 되는 부소. 전쟁으로 아버지도 남편도 잃고 살아가는 어머니의 마음을 알기에 부소는 어떻게서든 전쟁에서 살아남으려 한다. 그런 마음을 가진 부소가 전쟁에서 도망치듯 살아온 것을 쉽게 비난하지 못한다. 누가 뭐라해도 부소에게는 어머니가 대의였던 것이다.

 

"수백 년이나 저 강을 두고 세 나라가 피를 흘리고 있는데 강은 아는지 모르는지 유유히 흐르고 있네." - 본문 106쪽

 

누구를 위한 전쟁이였을까? 무엇을 위한 전쟁이였을까?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크고 작은 다툼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로를 위한 다툼이 아니라 서로에게 상처주는 싸움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무조건 정답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특히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고정적이고 한정적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아이가 책을 읽으며 무조건 역사의 사실을 알아가며 외우기보다는 보이지 않는 역사에도 관심을 가지고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