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 - 구효부 vs 신문물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5
손경희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장바구니담기


재판 첫째 날 신여성과 구여성은 어떤 사람들일까?

이번에는 김딴지 변호사가 어떤 사건을 맡았을까요? 명문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결혼해 가족을 위해 일해온 구효부가 남편이 만난 신여성 신문물을 자신을 무식한 여성으로 비난하였다고 명예훼손죄로 고발하는 사건을 맡게 됩니다. 1876년 개항 이후 서구 문물이 들어오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그 전에는 남자만 받던 교육을 여자들도 받아야 한다며 신식 교육을 받는 신여성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오랜 새월동안 갇혀 있던 생활을 하던 여성들이 쉽게 교육을 접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단지 겉모습뿐만 아니라 생각까지 많이 달랐던 구여성과 신여성. 그들이 서로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봐야만 했던 현실입니다.

재판 둘째 날 신여성과 구여성의 삶은 어떻게 다를까?

어느 시대나 여자들의 삶을 그리 평탄치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서구화의 바람으로 많은 것에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지만 여자들에게만은 아직도 엄격하다는 생각입니다. 여자들은 여전히 집안 일이나 하는 존재로만 생각하고 있으니 하고 싶어도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이렇게 어른들의 말씀에 아무말도 못하고 여전히 예전의 삶을 살아가는 여성이 있었다면 그런 틀을 깨고 교육을 받고 자신의 삶을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여성들도 있었습니다.

재판 셋째 날 신여성은 왜 정상적인 혼인이 어려웠을까?

우리들이 신여성하면 떠올리는 인물은 나혜석과 윤심덕일 것입니다. <사의 찬미>로 인기를 끌었던 윤심덕이 사랑하는 사람과 현해탄에서 죽음을 선택해야하는건 왜일까요? 일본 유학시절 만나게 된 김우진은 이미 가정이 있는 사람이였습니다. 그 둘의 사랑은 세상에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생각에 그들은 죽음을 선택했던 것입니다. 신여성들은 대부분 가정을 가진 사람들을 만났던 경우가 많은데 결과만 보고 비난할수도 없는 것입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며 시대적 상황을 알수 있습니다. 1920년대에는 중매가 아닌 자유연애에 의한 혼인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조혼으로 인해 신여성들이 만날수 있는 남자들은 대부분 가정을 이루고 있었던 것입니다.

재판부는 신여성의 명예훼손죄를 인정했지만 어찌보며 두 여성 모두 피해자가 아닐까 합니다.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여자들을 억압하고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사회구조로 인해 여성들이 쉽게 그 틀을 깨지 못했을뿐이지 가정에 충실했던 구여성들을 비난할수도 없고 그 틀을 깨고 자신의 삶을 찾아간 신여성들도 비난할수 없습니다. 신여성과 구여성의 삶을 통해 개화기 이후의 역사를 알수 있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역사공화극 시리즈는 직접적인 내용보다는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역사를 알아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