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담. 사람이 모여 살고 있는 어느 곳에서나 괴담은 존재한다. 특히 학교에서의 괴담은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다. 괴담의 사전적 의미로는 괴상한 이야기라고 한다. 괴상의 사전적 의미는 보통과 달리 괴이하고 이상함을 말한다. 역시나 괴담은 보통을 넘어서 기괴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어쩌면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확대되고 현실을 부정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괴담의 주인공들을 보면서 조금은 과장된 것은 아닐까하지만 어찌 보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인물들이다. 성악을 공부하는 연두, 인주, 지연.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고 서로를 친구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모여 있지만 그 안에서의 경쟁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실제로 아이들도 친구라는 이름으로 함께 모여 공부를 하지만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들은 제한되어 있기에 어쩔수 없는 경쟁 상대가 되는 것이다. 아무리 친구라도 그 곳에 함께 갈수는 없는 것이다. 성적이라는 이름으로 그들이 도달하는 목표점은 다를 것이다. 연두, 인주, 지연도 어쩔 수 없이 경쟁의 상대이기에 서로에게 질투와 비난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다소 엽기적인 커플. 아니, 트리플 치한, 미래, 보영. 한 남자와 두 여자의 사랑(?)이 가능한 것일까? 남들이 보기엔 어처구니 없는 만남이지만 이들은 우정과 사랑의 경계를 묘하게 넘나들며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천재적인 재능을 타고 났지만 아픈 부모와 사고를 치는 동생들로 인해 자신의 꿈을 펼치지 못해 마음에 모가 나 있는 음악선생 경민.

 

숨은 재능을 가지고 있는 합창부의 인주가 학교 연못에서 자살을 했다, 친구들은 인주의 죽음으로 학교의 괴담을 떠올린다. 연못에서 형제가 사진을 찍으면 둘째가 사라지고 일등과 이등이 사진을 찍으면 이등이, 첫번째 아이와 두 번째 아이가 사진을 찍으며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는 괴담.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지는 것이다.

 

-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

어쩌면 이 괴담 자체가 위험할 정도로 끝이 없는 거짓말이라도 모른다. 우리는 모두 두 번째 아이니까. 사라지는 것도 남는 것도 두 번째 아이.

남은 우리 역시 언젠가는 사라질지도 모른다. 지금 남아 있는건 그저 먹잇감을 끌어오는 미끼로서의 역할이 남아 있어서일뿐. - 본문 238쪽

 

우리는 이인자가 아닌 일인자를 꿈꾼다. 세상이 이등은 기억하지 않고 일등만 기억하니 우리는 낙오자(?)가 되지 않으려 발버둥치고 있다. 아이들도 어느새 그 경쟁에 익숙해져 친구라는 이름으로 함께 웃고 있지만 마음 한 켠에서 경쟁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지 모른다. 괴담의 주인공이 되어버린 아이들. 그 기괴함 속에서 벗어나 평범함을 누리는 행복을 가질수 는 없는 것일까? 결국 우리들의 몫일까? 아이들을 괴담의 주인공으로 만들어 버린 우리 어른들. 그 괴담을 들으며 그냥 지나치는 어리석음을 다시 범하지 않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