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달 1 - 세 명의 소녀 고양이달 1
박영주 지음, 김다혜 그림 / 아띠봄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꿈속을 걷는건 아닐까? 책을 읽으며 환상의 세계를 여행하는 느낌이다. 책을 읽는 내내 어린왕자가  떠올랐다. 노아의 모습에서 어린 왕자가 보이기도 한다. 바라별에서 온 신비한 소년 노아. 그  순수한 소년의 이야기가 궁금하여 책에서 쉽게 손을 놓지 못한다.

 

책을 보는데 아이가 힐끔힐끔 쳐다본다. 아이는 글자 크기가 작고 두꺼운 책이라며 읽을 생각은 하지 못하지만 책 속의 그림에는 관심이 많다. 노아가 귀엽다고 말하는 아이. 아이의 눈에는 귀여운 친구로 보이나보다. 아이가 관심을 보일만큼 책 속의 인물이나 배경은 이야기 못지않게 우리를 꿈꾸게 한다.

 

노아가 만난 고양이 아리. 몸은 하나이지만 머리가 셋인 고양이. 일반적으로 이런 몸을 가졌다고 하면 괴물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아리는 너무 사랑스러운 존재이다. 검정 눈은 모나, 파랑 눈은 마레, 노랑 눈은 루나라는 이름을 가진 아리. 이런 몸을 가진 친구를 사랑스럽게 그려 나가고 노아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참으로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처음에는 이야기를 따라가지 못해 혼자서 헤매고 있었다. 미처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아서일까? 아니면 나에게 순수함이 없어서일까? 노아를 따라 떠나지 못하고 혼자서 생각만 많았으니. 우리의 상식을 깨는 아리뿐만 아니라 치매에 걸린 앵무새, 빅과 스몰, 엄지족 등의 인물을 보면서 우리의 상식을 깨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가 만들어낸 인물들을 보면서 이런 인물들이 있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기도 하고 이런 상상을 한다는 것이 부러울 뿐이다.

 

누군가 그랬어. 사랑이란 거 동전의 양면 같은거라고. 상대에 대한 연민이 앞면이라면, 뒷면에는 날 위한 마음이 자리잡고 있는 거래. - 본문 241쪽

 

노아를 통해 사랑의 눈을 뜨는 아리. 마레, 모나, 루나. 처음 사랑하는 모습을 보니 설레이기도 하고 아직은 감정에 서툴러 오히려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사랑과 우정 속에서 아직은 서로의 감정에 서툴기만 한 이들이 2권에서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하다. 몽환적인 책을 읽으며 꿈 속에서 노아가 찾아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책속 인물이라는 것을 알지만 언젠가 우리도 노아를 만날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아직 끝나지 않은 노아의 이야기, 다음 이야기도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