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우리말 사용 설명서 - KBS 아나운서가 전하는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지음, 김상인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가끔은 우리말도 제대로 못하면서 영어를 공부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는다. 나또한 우리 말보다는 영어 공부에 더 관심을 보이고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가끔 올바른 영어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면 창피하고 더 열심히 해야지 생각하면서 우리말은 그럴수도 있지라는 생각으로 넘어가곤 한다. 의미를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말들도 많고 다른의미의 말도 사용하는 일이 많으니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 다른 나라들도 우리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정작 사용하는 우리들은 자긍심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바른말을 사용하는 아나운서들께서 우리 말의 사용에 대해 알려주니 믿음이 간다. 아니 정확하다고 해야하지 않을까?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실수. 이젠 실수라는 말로 우리의 잘못을 지나쳐서는 안될 것이다.

 

제1장 우리말을 제대로 사용해 볼까요?

아마도 우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다르다'와 '틀리다' 일 것이다. 예전에는 나도 종종 하던 실수였는데 이제는 어느 정도 고쳐져서인지 그런 실수는 하지 않고 있다. 가끔 방송에서도 '다르다'를 '틀리다'라고 말을 하면 자막에는 '다르다'로 나오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때 방송을 보며 의문을 가졌던 아이들도 책을 보며 정확히 알게 된다.

 

제2장 아나운서처럼 말해 볼까요?

이 부분은 참으로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장음, 단음, 된소리 발음 등 실생활에서 우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제일 부족한 부분들이 아닌지. 정확하게 발음을 하며 왠지 웃음이 나기도 한다. 아나운서들이 들려줄 때는 모르겠는데 우리들이 그렇게 발음하면 아직은 어색함이 크다는 생각이 든다.

 

제3장 표준어를 배워 볼까요?

가끔은 무의식적으로 표준어가 아닌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때가 있다. 아니 내가 사용하는 말들이 표준어인줄 알았지만 표준어가 아닌 경우가 많다.하지만,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다 보니 표준어가 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짜장면, 개발새발, 어리숙하다 등은 원래는 표준어가 아니였지만 사람들이 자주 쓰다보니 추가된 표준어들이다.

 

제4장 이 정도까지 알면 우리말 달인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이들이 학교에서도 배우고 여러 책들을 통해 조금씩은 알고 있는 내용들이다. 책을 보며 우리 말은 알면 알수록 대단하고 참으로 재미있는 표현들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신체를 이용한 표현들을 보며 아이들은 조금은 어려워했지만 그런 표현들이 새롭게 다가온다.

 

제5장 외래어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종종 쉬운 우리말을 놔두고 어려운 한자어나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보며 그리 곱게 보이지 않는다. 그런 말을 사용하면 많이 아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아니라 허세를 부리고 있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외래어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들이 있다. 우리들이 종종 실수를 하고 있어서인지 읽으면서 참으로 많은 도움을 받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