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갑신정변은 삼일천하로 끝났을까? - 김옥균 vs 민영익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48
이정범 지음, 이일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책은 칼라판이네요.

그 전에 읽었던 한국사법정 시리즈는 흑백이였는데^^

 

<역사일보>에 김옥균이 친일파라는 기사가 나오자 김옥균은 그 기사를 쓴 민영익에게 소장을 보냅니다. 자신은 절대 친일파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나대로 변호사에게 재판을 부탁한 것입니다. 김옥균과 민영익의 재판을 보기 전 갑신 정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참으로 혼란스러웠던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그때 세계가 하나라는 것을 인식하고 문물을 빠르게 받아들였다면 지금과 다른 우리가 되어 있을까요? 되돌릴 수 없는 시간들이기에 그것에 대해서는 쉽게 이야기 할 수 없을듯 합니다.

 

갑신정변은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정변입니다. 정변이란 '혁명이나 쿠테타 따위의 비합법적인 수단으로 일어난 정치적인 큰 변동'을 뜻해요. - 책머리에 中에서

 

급진 개화파의 대표적 인물 김옥균과  온건 개화파이자 민씨 정권의 중요 인물이였던 민영익.

재판에서 누구의 손을 들어 줄까요?

김옥균은 우리가 손가락질 할만한 친일파가 맞을까요?

두 사람의 재판 과정을 통해 우리는 많은 인물과 사건들에 대해 알아갑니다.

참으로 혼란 그 자체입니다.

나라 안팎으로 사건들이나 관련 인물들이 많으니 아이들은 이 시기를 알아갈 때 많이 힘들어 합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그 시대엔 유독 다른 나라와의 관계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많은 일들이 일어날 수 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들을 이해하며 역사를 제대로 보게 되는게 아닐런지. 

 

이 책의 장점은 사건이나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역사를 알아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과와 연계되어 있는 내용들이 많으니 아이들에게는 무엇보다 많은 도움을 줍니다.

단순한 암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야기들을 통해 흐름이나 상황들 속에서 이해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어려운 역사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온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겠죠.

아마도 이 시리즈는 아이 뿐만 아니라 함께 읽는 우리들도 새롭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