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야, 친구 할래?
하야사카 유코.사카이 소이치로 글, 사토 나오유키 그림, 이혜령 옮김 / 살림어린이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이 커가면서 그림책을 멀리 할거라 생각했지만 오히려 더 많이 보고 있습니다. 저도 다른 책보다 그림책에 손이 더 많이 가게 됩니다. 오히려 예전에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보다 그림을 보면서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 우리에게 전해주는 것이 많은 그림책입니다.

 

이 책에서도 다양한 채소들의 그림에 눈이 먼저 갑니다. 채소를 싫어하는 친구들이 이 책을 보면서 친근감을 가질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친해지면 안될듯해요. 친구를 먹어야 한다는 생각에 슬퍼질 수도 있으니까요^^ 사실 책을 보며 예쁜 채소들을 먹기 아깝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단지 채소들의 특징을 나열하고 우리 몸에 어떤 점이 좋으니 먹으라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채소 그림과 함께 이야기를 들려 주니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멋진 욕조로 변한 피망. 피망을 반으로 자르면 움푹 패여있는 모습을 욕조라 말을 하고 그 안에서 목욕을 하고 있는 피망 요정을 보며 아이들은 피망의 모양을 아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상의 나래도 펼칠 수 있습니다.

보물 상자를 꽁꽁 숨겨둘 수 있는 양배추. 겹겹이 쌓여 있는 양배추를 보물 상자 숨기기 좋은 장소라고 말하는 기발한 생각. 양배추의 특징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생각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아이들에게 양배추가 겹겹이 쌓여있다고 설명해 주는것이 아니라 보물 상자를 숨긴다는 이야기로 확실히 관심을 끄는데 성공을 합니다.

호박 속에는 요정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그 요정은 무엇이든 잘 만드는데 그 중 가장 자랑스럽게 만든 물건은 신데렐라에게 빌려준 호박마차라고 하네요. 이런 깜찍한 이야기들이 나오니 아이들이 어찌 채소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아이들이 그리 좋아하지 않은 많은 채소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이 채소들은 꼭 보고 그 특징을 확인하고 싶네요. 또한, 그 채소들을 가지고 아이들과 요리도 함께 만들어보면 좋지 않을까요? 아이들이 그 채소를 먹으며 책 속에 나온 의성어와 의태어를 따라하면 채소와 분명 친구가 될 수 있을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