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의 아들 쿠메와와 담쟁이 문고
티보르 세켈리 지음, 장정렬 옮김, 조태겸 그림 / 실천문학사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로 모험을 즐기는 작가의 경험이 있어서인지 책을 읽는내내 우리가 실제로 정글에 있는듯한 착각을 하게 합니다.모험이라는 것은 어린 아이들만 꿈꾸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어른이 되어서는 현실이라는 한계에 부딪히며 제약을 받지만 마음 한켠에는 늘 새로운 세계에 대한 모험을 꿈꾸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부터 저도 쿠메와와를 따라 아마존으로 모험을 떠나보려 합니다.

 

아마존강을 지나던 유람선이 무언가에 부딪혀 심하게 요동치며 서서히 느려지더니 멈춰 섰습니다. 유람선은 강 한가운데에 뱃머리만 내민채 좌초된 것입니다. 배에 물이 차오르기 시작하자 사람들은 구명보트를 타고 대피를 하게 됩니다. 낯선 곳에 도착한 사람들은 불안하고 언제 구조될지 모르는 상황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그런 그들 앞에 나타난 쿠메와와.

 

강에서 낚시를 하던 쿠메와와가 목이 말라 물을 마셨는데 물이 짜서 강 어딘가에 바다를 지나온 배가 있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고 위험에 처해 있을것이라는 생각에 찾아왔다고 합니다. 또한 그들의 먹거리도 챙겨 오니 사람들은 놀라울 뿐입니다.

 

어려움에 빠진 사람을 돕는 것은 곧 나를 돕는 것이다. - 본문 21쪽

 

누군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안다는 사실도 놀랍지만 아무 조건없이 도와준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 낯선 이들이 왔다는 경계심이 아니라 그들이 처해 있는 위험을 먼저 생각하는 쿠메와와. 그의 진심을 알고 사람들은 고마워하며 자신들의 배를 고치려하는 용기를 잃지 않게 됩니다.

 

사람은 모든 것을 생각해야 하지만 자연은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다. 자연은 이미 모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본문 80쪽

 

쿠메와와를 보면 자연과 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가끔 자연을 이용하는 것이라 생각하며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연이 우리를 품어주고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참으로 어리석은 행동과 생각을 하며 살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