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케이틀린 - 2010 내셔널 북 어워드 수상작 생각하는 책이 좋아 10
캐스린 어스킨 지음, 김영선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제대로 이해하기

케이틀린의 이야기처럼 우리는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공감은 다른 사람이 느끼는 방식으로 느끼려고 애쓴다는 뜻이야. 네 입장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야 해. 잠시 그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는 거지. - 본문 143쪽

내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입장에서 진심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참으로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케이틀린을 이해하는 것도 아스퍼거 증후군을 이해한다는 것도.

사실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 책을 통해 알게 되었고 좀 더 자세한 것을 알고 싶어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 보았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임에도 우리는 이기적인 마음이 가시처럼 돋아날때가 있습니다.

굳이 그들을 이해하며 내가 힘들 필요가 있을까?

참으로 어리석은 행동이지만 가끔은 외면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세상과 소통할 줄 모르는 케이틀린에게 세상과의 통로가 되어 주었던 사랑하는 오빠 세상을 떠납니다.

이 책을 읽으며 더 가슴이 아픈건 작가가 글을 쓴 배경이 된 총기 사건이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버지니아 공대 총기 사건이라는 것입니다.

2007년 우리 나라 유학생이 벌인 사건이라 한동안 떠들썩했던 이야기입니다.

그런 총기 사건이 일어나게 된 학생의 배경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슴 아파하고 우리의 주변에 대해 외면 할 수 없었던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케이틀린의 오빠도 교내 총기 사건으로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

유일한 친구이자 자신을 이해했던 오빠가 떠나자 케이틀린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케이틀린은 다시 세상과 소통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우리와 다른 사람에게는 관대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르다는 이유로 상처를 주고 외면하고 있는건 아닌지.

이젠 더 이상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줄 자격이 우리에겐 없습니다.

케이틀린이 세상을 향해 걸어갈 수 있도록 브룩 선생님과 마이클이 친구가 되어 준 것처럼 우리도 그들에게 친구가 되어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