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벼랑 -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ㅣ 푸른도서관 24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벼랑...우린 벼랑 위에 섰을때 어떤 기분이 들까?
바로 한 발만 내딛으면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데..
그렇게 위험한 곳으로 우리 아이들을 보낼 수 있을까?
어쩌면 우리들은 아이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는건 아닌지??
5편의 이야기 속의 나오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보며 조금은 멀게 느껴진건 사실이다.직접 겪은 일도 아니고 내 아이의 모습이 보이는것도 아니고. 방송에서나 접할 수 있는 이야기를 보면서 아직은 우리 아이하고는 다른 아이들의 이야기로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덮으면서 그건 혹시 나만의 생각이 아닐까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생 레미에서, 희수>의 마마보이 선우 이야기를 보면서 어쩜 난 선우 엄마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를 위한다는 이유로 늘 곁에서 지시하고 있었던건 아닌지...난 아이와 대화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일방적인 나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었다. 아이가 어떤 선택을 할 수 없고 한가지 대답만을 요구하는 질문만을 던지고 있었던 것이다.
작가는 이 책 속에 자신의 아이들의 삶이 들어 있다고 말한다. 어떤 식으로든 녹아 들어간 이야기 속에 나 또한 나의 모습이 우리 아이의 모습이 보였다. 모범생이라 불리는 아이는 그 틀안에 갖혀 얼마나 답답했을까?
언젠가 시험이 끝난 후 반 친구들이 놀러 가는 계획을 세우는데 우리 아이에게 " 00아, 넌 안되지? 넌 안갈거지?" 라고 말했다고 한다. 집에 온 아이는 그 이야기를 하면서 화를 내기 보다는 웃으며 "친구들이 나한테 아예 가자는 말도 안하고 가버렸어."라고 말했다. 참으로 어리석은 나는 시험이 끝나도 다른 데 가지 않고 집으로 돌아온 아이를 보며 속으로 대견해했던것 같다. 주위에서 아이를 칭찬하는 말에 우쭐해하며 아이의 마음은 들여다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담담하게 책을 읽어 내려간 아이와 달리 난 가슴 속에 돌이 얹혀진듯 했다. 내가 바로 아이를 벼랑 끝으로 몰고 있는 엄마라는 생각이 드니 눈물이 왈칵... 내 욕심 때문에 상처가 곪아 터져도 말 한마디 하지 않는 아이를 난 보고만 있었으니...
참으로 바보같이 나의 행복이 아이에게도 행복한 일일거라 생각했다. 이제 가슴에 얹힌 돌을 내려놓고 싶다. 이젠 나의 행복이 아닌 아이가 꿈꾸는 행복을 위해 내 욕심을 버려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