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사고력을 깨우는 진짜수학
오다 도시히로 지음, 박인용 옮김 / 플러스예감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들이 공부 잘하느냐 못하느냐의 기준을 삼을 때 주로 수학을 이야기하지 않을까?
다른 과목들은 어느 정도의 노력으로 이룰 수 있지만 수학만큼은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아이들이 빠르게 포기하는 과목 중 하나가 수학이 아닐런지.
다른 과목과 달리 기본이 다져지지 않는다면 더더욱 공부하기 힘든 과목일 것이다.
둘째 아이의 담임 선생님께서 새학기에  아이들에게 여러 가지 설문 조사를 하셨는데 제일 싫어하는과목과 어려운 과목을 수학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만큼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지 못하고 어려운 과목을 수학이라고 생각한다.

’처리’하는 자세를 버리고 풀어내는 수학을 해 보세요. 처음에는 시간도 노력도 많이 들지만 익숙해지면 어려운 문제도 ’풀리게’ 됩니다. 그러면 수학이 즐거워질 것입니다. 이렇게 모든 아이들이 수학을 몸으로 느끼는 진짜 수학을 만나길 바랍니다. - 본문  12쪽

우리는 보통 수학을 푼다고 이야기 한다. 이 책에서도 풀어내는 수학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풀어내는 수학이 실력을 키워주고 오랫동안 남으며 재미있다고 이야기 한다. 

수학을 못하는 아이(사람)의 특징

똑같은 실패를 되풀이한다.
해법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실패를 두려워한다.
일상 생활의 감각에만 의존한다.
자기가 옳다고 생각한다.
융통성이 없다.
푸는데 집중하지 못한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를 생각했다. 한가지 방법으로만 풀려하고 똑같은 실패를 되풀이하는 아이. 우리 아이는 수학을 못할 수 밖에 없는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포기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생각을 했다. 수학을 어떻게 푸는지에 대한 방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수학 실력을 좌우하는 세 가지 요소
기술, 이론, 센스(수학적인 감각과 수학적인 것을 다룰 수 있는 능력)

이 책은 수학을 잘하는 방법을 말하기 보다는 우리 아이들이 수학을 못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문제의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만 생각하고 있다. 엄마는 아이가 이왕이면 백점을 맞기 원한다. 가끔 아이들은 기본 개념을 이해해서가 아니라 학원에서 기술적인 측면을 많이 습득해 같은 유형의 문제들은 기계적으로 푸는 경우가 있다. 생각을 해서 푸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훈련된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아이가 스스로 '왜' 라는 생각을 가지고 수학에 접근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우리 아이들은 백점을 맞기 위한 수학이 아니라 생각하며 풀어내는 수학을 해야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