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를 좋아하는 마녀 우리또래 창작동화 49
원유순 글, 조형윤 그림 / 삼성당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영서의 종이학

종이학 천마리를 접으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하여 한 때 마음을 담아 학을 접은 적이 있다. 물론 학을 접어도 소원은 이루어 지지 않았다. 하지만 학을 접는 내내 내가 바라는 것을 생각하고 이루어 질 것이라는 믿음 때문인지 그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실망하지 않고 다른 노력을 하고 있는 나의 모습을 보았다. 우리는 가끔 다른 사람이 잘못 되었으면 하고 소원(?)을 빌 때가 있다. 그 마음을 가지는 순간부터 마음이 편하지 않다. 영서도 건우가 아팠으면 좋겠다고 종이학을 접고 소원을 썼지만 쓰는 그 순간부터 마음의 감옥에 갇히게 된다. 우리는 이처럼 다른 사람이 잘 못 되었으면 바라는 순간부터 나의 마음이 더 괴롭다는 것을 알기에 용서를 하고 이해를 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해바른 집

반지하에 살지만 항상 밝은 모습으르 가지고 있는 배꼽이. 배꼽이의 집에는 해가 비치지 않지만 배꼽이의 마음엔 항상 밝은 해가 비추고 있다.


찔찔이와 여우공주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사람들은 늘 행복하다. 이해하지 못하면 늘 괴롭고 누군가 밉다. 조금만 노력하면 누구나 행복할 수 있는데 우리는 왜 포기하며 살고 있을까? 여우 공주 연우가 민국이를 이해하자 마음의 감옥으로터부터 헤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김치를 좋아하는 마녀

편식을 하는 아이 때문에 엄마들은 한 두번 속상한 일을 겪을 때가 있다.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해도 잘 고쳐지지 않을 때는 정말 속상하다. 이 책속의 은아는 감치를 좋아하는 마녀 덕에 싫어하던 김치를 지금부터 먹을 것 같다^^

쥐구멍에 들어가 봤더니

우리는 살면서 쥐구멍에 들어가고 싶을 때가 많다. 사람 많은 곳에서 넘어졌을 때, 나도 모르게 말 실수를 했을 때, 외출했다 돌아와 보니 얼굴에 뭔가 묻어있을때(이 얼굴로 하루 종일 거리를 다닌 나를 생각하니...)...여러 분은 어떨 때 쥐구멍에 들어가고 싶으신지?

도깨비 ’아냐’

"싫어,아니야..." 아이가 제일 많이 하는 말인 것 같다. 어느 날부터인가 아이는 뭐든지 싫다고 하고 뭐라 물으면 아니라고 대답한다. 

개꿈과 돼지꿈 

사람들은 누구나 돼지꿈을 꾸기 원한다. 꿈 속의 돼지가 아니더라도 현실에서의 돼지를 꿈꾸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누구나 행복하고 누구나 돼지꿈을 꿀 수 있는 그런 세상을 꿈꾸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