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각보 이불 - 제3회 푸른문학상 수상집 ㅣ 작은도서관 20
최지현 외 지음, 이상현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조각보 이불
조각조각이 모여 예쁜 이불을 만들듯이 지민이와 윤서네는 서로 한 조각의 천으로 만나 예쁘게 이어 이불을 만들었다. 아직 한 부모 가정은 사회의 편견 때문에 힘든건 사실이다. 어쩜 가장 큰 피해자는 아이들인지 모른다. 자신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부모님이 헤어져 둘 중 한사람과 살아야하는 아이들. 함께 살지 못하고 한 사람과 살면서 다른 사람을 늘 그리워해야하는 아이들은 평생 아픈 상처를 가지고 살아야 할지 모른다. 그런 아이들에게 따뜻한 마음으로 안아주지 못할 망정 편견을 가지고 대하는 우리들의 행동은 옳지 못한 것이다.
우리 할머니 시집간대요
사랑이라는 감정은 나이와 무관하다. 우리들은 보통 젊은 남녀의 사랑을 많이 떠올리는데 이 책속의 이수 할머니와 꽃집 할아버지의 사랑은 참으로 따뜻하다. 평생 자식을 위해 살아온 두 분이 마지막 남은 여생을 함께 하고 싶어도 자식들의 반대에 포기하시는 것을 보고 결국 부모는 자신보다는 자식을 위한 삶을 산다고 생각했다. 자신들의 사랑보다는 자식을 위한 마음 때문에 서로의 사랑을 포기하려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진심은 통한다고 했던가? 이 두분이 따뜻한 사랑을 계속 할 수 있게 되어 너무 기쁘다.
슈퍼맨과 스파이더맨이 싸운다면
결국 착한 슈퍼맨과 스파이더맨은 싸우지 않는다.
부부싸움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눈치를 보게된다. 누구의 편을 들수도 없고 엄마, 아빠가 왜 싸우는지도 알 수 없고 싸워야만 하는 사실이 싫기 때문이다. 현우는 오늘도 눈치를 살핀다. 엄마, 아빠의 소리 없는 전쟁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건 현우와 현성이. 현우는 이 싸움이 빨리 끝났으면 하지만 좀처럼 끝날 기미가 보이질 않는데. 그러자 현우는 자신도 모르게 자꾸 이불에 지도를 그리게 된다. 이런 불안한 현우의 마음을 알게 된 부모님은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노력...
최소리네 집
이름처럼 예쁜 소리는 아빠는 계시지 않고 청각장애인 엄마와 함께 살고 있다. 주위의 따가운시선에도 참으로 열심히 살아가는 모녀. 그 누가 이 모녀에게 손가락질을 할 수 있을까?
"진짜 귀머거리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이 아닐까요? 그런 사람에게는 건강한 귀가 있어도 소용 없잖아요.세상에는 들을 수 있으면서도 귀를 꼭꼭 닫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요.-본문 中
우리가 보기에는 불안전해 보이는 가족들.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듯이 모양이 조금 다르다고 해서 그들이 틀렸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들도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열심히 살고 있으면 서로를 사랑한다. 단지 우리와 모양이 조금 다른 가족일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