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토불이 우리음식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24
우리누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우리 나라 음식들의 소개와 관련 이야기들이 나와 있다. 요즘 아이들이 점점 우리 고유의 음식을 맛볼 기회가 적어진다.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의 맛에 익숙한 아이들은 우리의 맛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접할 기회가 적은 아이들에게 우리나라 음식을 재미있는 이야기와 접하게 되니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김 영감집 두 며느리 - 김치 이야기
같은 김치이지만 지역에 따라 맛도 참 다르다. 함경도에는 명태나 굴을 넣고, 평안도는 고기 국물, 전라도는 밴댕이젓이나 조기젓,뱅어젓을 넣고 경상도에는 멸치젓, 강원도에는 오징어젓이나 창란젓을 넣는다.
 
원나라에는 없던 별미 - 불고기 이야기
지금도 세계여러 나라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음식중 가장 좋아하는 것이 불고기가 아닐런지. 예전 원나라 사신이 홀딱 반한 요리가 바로 불고기라고 한다.

남문 밖에서 얻은 음식 - 빈대떡
’가난한 사람들의 떡’이라 하여 빈자떡이라 불린 빈대떡.

탕탕 평평하여라 - 궁중 음식 이야기
음식 속의 정치라 할 수 있는 탕평채. 편을 나누어 싸우는 신하들의 모습을 보고 21대 임금 영조는 음식의 이름을 탕평채라 하였다. 음식도 어우러져 맛을 내는데 우리도 이처럼 어루러진다면 탕평채의 맛과 색보다 아름다울 것이라며 신하들에게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이처럼 음식은 우리가 먹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아름다움을 느끼고 음식속의 마음까지 읽을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손에서 손으로 전해온 우리의 맛을 아이들에게도 꼭 알려주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는 알지 못했던 음식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또한 음식 속에 담겨진 이야기까지 알게 된 아이는 우리 음식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광고 카피처럼 우리의 것이 세계 제일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