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 숲에 사는 잉어 난 책읽기가 좋아
홍종의 지음, 염혜원 그림 / 비룡소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마을 사람들은 서둘러 산소를 옮깁니다. 마을 사람들은 꽃가루를 나르는 꿀벌처럼 붕붕거립니다.  마을 사람들의 마음이 물위에 둥둥 떠 있는 듯합니다.  대나무처럼 꼿꼿하던 사람들의 허리가 모두 구부정해집니다.  더러는 술이 취해 고함을 지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하나 둘 이사를 갑니다. 마을을 찾던 손님들의 발길도 뚝 끊어집니다. 마을은 마치 물 속에 가라 앉은 듯 조용해집니다. - 본문 중 

얼마 전 아이와 차를 타고 가다가 재개발을 하고 있는 곳을 지나갔다. 
오랫동안 살아 온 동네이기에 동네곳곳을 알고 있는 아인  저긴엔 문방구가 있었고 저기엔 00슈퍼가 있었고..쉴새 없이 얘기했다.
아이는 짧은 시간 차를 타고 지나가는 동안 재잘재잘...
그러다 벽에 빨간 글씨로 써 져 있는 것이 무슨뜻이냐고 물었다.
이주민 대책...보장하라...집 뺏기고...아이는 자기가 본 글 중 몇가지 단어만 기억해냈다.
그러면서 " 저기 살던 사람들은 집을 다 뺏긴거야?"라고 물었다.
사실...난 어떤 설명도 해줄 수 없었다.

이 책에 나오는 왕대골은 수몰지구이다.
허리 아픈 사람도 낫게 해 준다는 왕대골은 마을 어귀, 마을 안쪽도 온통 대나무숲이다.
하지만 댐 건설로 인해 마을 사람들은 떠나고 덩그러니 항아리와 항아리에 살고 있는 잉어만 남는다. 비록 항아리에 새겨진 잉어이지만 금방 우리 곁으로 튀어나올 것 같다.
수몰 되기 직전 할머니 덕에 그 곳에서 나오지만 잉어의 눈에는 눈물이 흐른다.
왕대나무의 꽃도 눈송이처럼 펄펄 내렸지만 그건 마지막 눈물이 아니었을까?
잔잔하게 들려주는 이야기는 우리가 자연을 훼손하면서 개발하는 것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