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보는 수학의 역사 - 수를 세는 동굴인에서 컴퓨터까지 빠르게 보는 역사
클라이브 기퍼드 지음, 마이클 영 그림, 장석봉 옮김 / 한솔수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유일하게 좋아하고 공부를 했던 과목이 수학이다. 지금의 학습법과 달라 국사, 영어는 외워야 하는 꾸준함이 있어야 했다.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꾸준함도 없어서 다른 과목들은 흥미가 없었다. 수학은 나에게 있어 다른 과목과 달리 외우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흥미로운 과정을 알게 해주었다. 다른 사람들이 클래식을 들으며 책을 읽는 태교를 할 때 난 정석을 풀었다. 성적이라는 무게를 벗어버리고 만나는 수학은 더 흥미롭게 다가왔다. 지금은 수학 학습서들이 다양했지만 그 당시에는 정석을 많이 풀었다. 그래서일까. 가끔 복잡한 일들이 있을 때는 수학 관련 도서들을 보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 



이번에 만나게 된 <빠르게 보는 수학의 역사>도 지루함이 생기거나 복잡한 생각들이 있을 때 이야기 하나씩 보면 좋을 것 같다. 수학적 지식들이 담겨 있지만 학습적으로 다가가기 보다 흥미로운 스토리 중심으로 하나씩 만날 수 있어 수수께끼를 풀 듯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

 

제목부터가 관심을 갖게 한다. 개코원숭이 다리뼈, 마음을 비우고 0을 생각해 봐!,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 등의 제목을 보면서 어떤 수학이 숨어있을지 궁금해진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도 중요하다. 확연히 드러나는 제목도 좋지만 이런 제목들을 보면 아이들이 여러 가지 상상을 할 수 있다. 지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을 한다. 예전에는 어떻게 기록을 했을까. 수학과 개코원숭이 다리뼈가 무슨 연관이 있을까 의문을 가졌는데 여러 개의 눈금이 그려진 것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달력이나 계산기로 사용되었을 거라고 추정한다고 전하고 있다. 뼈나 막대에 수를 기록했던 것이다.

 

우리는 10진수를 사용하고 있어 큰 수도 어렵지 않고 쓸 수 있다. 예전에는 수를 어떻게 나타냈을까. 고대 이집트에서는 상형문자를 이용해 수를 나타냈다고 한다. 10은 뒤꿈치 뼈로 100은 돌돌 말린 밧줄로 나타냈다. 그 외의 숫자도 연꽃, 손가락, 개구리로 나타냈다고 하니 재미있기도 하지만 숫자를 나타날 때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빠르게 보는 수학의 역사>의 담겨있는 이야기들이 흥미롭다. 어려운 수학이 아니라 재미있는 수학이다. 이야기 속 삽화들은 이해를 돕는 것에서 나아가 유머들이 담겨있어 다음 페이지의 내용들을 궁금하게 만든다. 공식을 외우고 시험을 준비하며 만나는 수학은 누구에게나 부담감으로 다가간다. 이 책은 그런 부담감이 없다. 아이들이 책을 보며 수학이 이렇게 재미있는 거였냐고 말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