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니까 예쁘지 단비어린이 그림책
강정연 지음,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있는 두 사람을 보며 어떤 생각을 할까. 외모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겉모습을 보고 판단할 것이다. 좋은 옷을 입은 사람과 남루한 옷차림의 두 사람이 말을 걸어오면 두 사람에게 같은 반응을 보일까. 이유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전자에게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후자에게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을까. 아직 이야기를 읽지 않았기에 표지에 보이는 두 사람이 어떤 인물일지 모르지만 외모만 보고'예쁘다'라는 느낌은 쉽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다.



 

<귀하니까 예쁘지>의 박대감은 보기에 좋은 것만 좋아한다. 그 정도가 심해 사람을 구할 때도 일을 잘 하는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외모를 먼저 본다. 그러다 보니 집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외모에만 관심을 가진다. 이렇게 보기 좋은 것을 좋아하는 박대감에게 고민이 있다. 하나밖에 없는 딸이 못생긴 것이다. 못생겨도 자기 자식은 예쁘다고 생각하는데 박대감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딸은 시집을 못 갈 거라는 박대감의 걱정에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진짜 인연은 따로 있을 거라 말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얼굴은 못났지만 성품은 좋은 사람이다.

 

비가 오는 날, 두 사람이 박대감 집을 찾아온다. 훤칠한 키에 반듯한 얼굴을 한 사람과 작고 땅땅한 몸에 얼굴이 시커멓고 험상궂게 생긴 두 사람이 하룻밤만 묵게 해달라고 말한다. 인물이 좋은 사람은 방에서 재우고 다른 사람은 헛간에서 재운다. 두 사람이 자고 간 뒤에 많은 일들이 벌어진다. 딸을 위해 한 행동이 오히려 위험에 빠뜨린다. 이제 박대감과 딸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허허허! 예뻐서 귀한 것이 아니라, 귀해서 예쁘다는 걸 내 이제야 알았네." 

 

세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지 아직고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 첫인상이 중요하지만 첫인상을 결정짓는 것은 외모만은 아니다. 표지에서 만났던 두 사람의 첫인상에 대한 느낌은 이야기를 보면서 많이 달라진다. 눈에 보이는 것이 모두 진실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 많을 때가 있다. 박대감이 이제 어떤 것이 예쁜 것인지 알아가듯 우리들도 내면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