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30’s 경성 무지개 - 그들의 심장은 뛰었다 ㅣ 단비청소년 문학
민경혜 지음 / 단비청소년 / 2022년 2월
평점 :
일제강점기의 이야기를 만날 때마다 가슴이 먹먹해진다. 그들의 아픔을 가늠할 수 없다. 책에서도 언급이 되지만 누구나 독립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대의를 위해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고 목숨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죽음 앞에서 당당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그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는 것은 아닐까.

<1930 경성 무지개>의 배경은 1930년대이다. 나라를 잃은 슬픔에 잠겨 하루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누군가는 어려운 시기에 자신의 이익을 취하며 많은 사람들을 어려움에 빠지게 한다. 혼란의 시기이다. 새로운 생각으로 누구나 평등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빼앗긴 것을 다시 찾는 것은 당연한 일임에도 그들은 온갖 위협 속에 살아간다.
하연이의 이름은 '한여름의 연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하연이의 아버지는 대대로 관직을 이어오던 민씨 가문의 장손이다. 하연이가 태어났을 때 딸이라고 다들 실망을 하였지만 아버지는 하연이를 진심으로 사랑했다. 인자한 아버지와 따뜻한 마음을 가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하연이는 누구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진 아이다. 부러울 것 없었던 하연이에게 큰 아픔이 다가온다.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시신으로 돌아오고 엄마도 세상을 떠난다. 홀로 남겨진 하연이는 숙부의 보살핌을 받으며 살아간다.
하연이를 중심으로 많은 인물들을 만난다. 그 인물들은 하연이 부모님의 따스한 도움으로 힘든 시간들을 버텨온 사람들이다. 하연이와 어릴 적부터 함께 자란 삼월이는 신분 차가 있었음에도 차별 대우를 받지 않았다. 안방마님과 대감마님은 자신을 늘 따뜻하게 대해 주었다. 삼월이라는 이름이 촌스러워 불만이 있는데 대감마님은 '수희'라는 예쁜 이름을 선물해 주었다. 춘복과 초선도 안방마님의 인간적인 대우로 지금까지 버틸 힘을 얻었다.
고난이 다가올 것을 알지만 비굴한 삶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 자신의 행복보다 다른 사람들과 나라를 위한 삶을 선택한다. 누구보다 뜨거운 심장을 가지고 살아간 사람들을 만난다. 우리에게는 늘 아픔으로 다가오는 시기이다. 찬란한 청춘을 보낸 이들이 아픈 시기를 보내는 이야기를 보며 그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