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아이
안녕달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겨울을 기다리는 이유 중 하나는 '눈'이 아닐까. 눈이 내리면 잃었던 동심이 돌아온다. 어른들도 눈사람을 만들게 하는 힘이 있다. 눈은 겨울에 내리는 차가운 존재이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따듯하게 만드는 마술을 부린다. 이 책에서 만나는 눈아이도 우리들의 마음을 따듯하게 만든다, 비록 겨울에만 만날 수 있는 친구이지만 누구나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기에 더 애틋한 존재가 아닐까.



 

그림책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안녕달' 작가를 알고 있을 것이다. 수박 수영장, 당근 유치원, 쓰레기통 요정 등의 다양한 작품들을 만났었기에 이번 작품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라 하지만 안녕달 작가의 이야기들은 항상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이번에 만난 <눈아이>도 기다린 시간보다 더 큰 감동을 전하고 있다.  

 

표지에 보이는 아이와 눈아이는 닮아 보인다. 장갑도 끼지 않은 차가운 손을 보며 많이 추울 것 같다는 생각을 하지만 마음은 따뜻해진다. 둘이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눈아이의 손에 들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해하며 첫 장을 넘기게 된다. 

 

그렇게 겨울의 한가운데에서 눈아이를 만났다. - 본문 중에서 

 

학교 가는 길에 눈아이를 본 아이는 그냥 지나친다. '뽀득 뽀득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그냥 지나쳐 학교에 도착했지만 계속 생각이 나는 눈아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다시 만난 눈아이와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아이. 아이와 눈아이의 웃음소리, 둘이서 만들어 먹는 눈빵, 토끼를 쫓아 뛰어가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지으면서도 뭉클해진다. 안녕달 작가의 그림책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감동을 전해준다는 것이다.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지만 우리 안에도 순수한 아이가 존재한다. 작가의 책을 읽으면 잊었던 내 안의 순수함을 찾는 것 같아 또 다른 감동을 전해준다.



 

둘이서 빨간 장갑을 나누어 끼고 걸어가는 뒷모습을 보면서 어떤 표현도 할 수 없다. 이 장면만으로도 아이와 눈아이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아이가 눈아이에게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기에 오래도록 그 장면을 마음속에 담아두게 된다.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기 마련이다. 눈아이와의 이별은 슬픈 헤어짐이 아니다. 새로운 만남이라는 생각에 겨울에만 만날 수 있어 슬픈 것이 아니라는 것에 더 큰 감동을 전한다. 헤어짐이 아니라 우리와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 눈아이. 그동안 꼭꼭 숨어 있었으니 이제 우리가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