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눈물 단비어린이 문학
정해윤 지음, 황여진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여러 감정들이 있다. 좋은 감정들도 있지만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 감정들도 있다. 노력으로 그 감정들을 줄여나갈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렇다고 해서 감정들을 인위적으로 없앨 수는 없지 않을까.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슬픔에 잠겼다. 슬픔에서 나아가 절망에 빼진 사람들을 구해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희망을 잃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은 슬픔을 없애는 것이라 생각한다. 슬픔을 없애기 위해 만든 '눈물 주사'는 자의에 의하기보다는 이제는 암묵적인 강요가 되고 있다. 사람들이 눈물 금지 주사를 거부할 수 없는 것일까.

 

"우리도 감정을 조절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 p.57 

 

겸이의 할머니는 뇌과학자로 부정적 감정을 억제하고 긍정적 감정을 강화하는 주사를 개발하였다. 슬픔으로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슬픔을 잊게 하면 이전의 생활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우리의 노력이 아닌 약물에 의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슬픔이라는 감정을 잃었다고 해서 우리의 삶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은 아니다. 책을 보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감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겸이의 친구 리아가 학교에 나오지 않으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리아는 학교에 오지 않고 리아의 부모님은 집에 돌아오지 않는다. 리아의 가족에게는 어떤 일들이 생긴 걸까. 겸이와 할머니가 리아를 찾으면서 알게 되는 진실들. 눈물은 아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 주사를 맞으면 행복은 영원히 우리 곁에 있는 것일까. 

 

지금의 나에게 1초, 1분 후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모른다. 비슷한 일상에 놓여있지만 감정은 조금씩 다르게 다가온다. 인간에게 있어 감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를 일으키는 힘을 만들 수 있지만 가끔은 주저앉게 만드는 일도 있다. 그런 감정들은 내 마음대로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 않을까. 책을 보면서 언젠가 우리들의 감정도 조절할 수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안에 다양한 감정들이 공존하는 이 순간이 행복한 것은 아닐까. 눈물이 사라지는 우리의 삶이 그렇게 행복해 보이지는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