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형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마을 35
박예분 지음, 김태란 그림 / 책고래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0년 6월 25일은 전쟁이 발발한지 70년이 되었습니다. 지금 세대들에게는 6·25가 역사 속 하나의 사건으로 기억되지만 아직도 누군가에게는 아픔으로 남아 있습니다. 전쟁으로 사랑하는 가족들과 헤어진 아픔을 갖고 있으며 아직까지 생사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있어 한국전쟁은 큰 아픔으로 남아 있는 것입니다. 그 아픔은 시간이 지날수록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점점 자라고 있는 건 아닐까요.

 

 

"넌 참 좋겠다. 형이 있어서."

친구들에게 이런 말을 듣는 영석이는 형이 있어 너무 좋습니다. 열두 살이 많은 형은 든든한 존재입니다. 자다가 이불에 오줌을 싼다는 것이 창피하다고 생 할까봐 다른 가족들이 모르게 이불을 널어줍니다. 받아쓰기에서 20점을 맞아도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한글을 가르쳐주는 친절한 선생님의 역할도 합니다. 친구들과 함께 놀라고 썰매까지 만들어주는 형은 영석이에게 마법사 같은 존재입니다. 이런 형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일입니다, 보통 형제자매들은 가끔 가족이 맞을까 싶을 정도로 싸우는 일도 있습니다. 하지만 책 속에서 만나는 영석이의 형은 부모처럼 늘 동생을 돌봐줍니다.

 

늘 자신의 곁에 있을 거라 생각했던 형이 멀리 떠납니다. 영석이는 형이 어디로 가는지 모릅니다. 부모님 말씀 잘 듣고 동생을 잘 돌봐주라는 이야기를 하고 떠납니다. 그 말을 마음에 담아두고 네 살 어린 동생을 형이 자신에게 했던 것처럼 돌봐줍니다. 형이 집을 비운 사이 동생 순덕이도 태어납니다. 이렇게 시간이 흘렀는데 형은 소식이 없습니다. 도대체 형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나중에야 형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군대에 간 것을 알았습니다, 전쟁으로 집을 떠날 수밖에 없는 가족들. 하지만 다시 집으로 돌아옵니다. 집으로 돌아왔지만 형에게서는 연락이 없습니다.

 

전쟁 때문에 헤어진 가족들의 아픔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전쟁으로 인해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그들에게 있어 이념보다는 가족, 이웃들과 주어진 삶을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누구도 바라던 전쟁이 아니었기에 사람들은 더 큰 아픔을 느낍니다. 아직도 아픔을 간직한 사람들이 있기에 단순히 역사 속 하나의 사건으로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아픔을 조금이나마 헤아리는 시간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