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휴식하라 - 회복과 치유를 위한 33일간의 철학 세러피
안광복 지음 / 사계절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가 같다.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흔히 인식, 존재, 가치의 세 기준에 따라 하위 분야를 나눌 수 있다. 학창시절 만난 철학은 어려운 학문이었다.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는 사전을 통해 만나는 철학도 어렵게 다가온다. 이전에 만났던 철학은 무겁고 딱딱하게 다가왔다. 그런 철학으로 휴식을 한다는 것이 쉽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가 원하는 대로 마음의 상처 없이 살아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세상은 내개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그렇기에 매번 스스로 다독이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철학으로 휴식하라>에서는 힘들고 지친 마음을 다독일 수 있는 글을 만난다.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른세 개의 이야기들을 딱딱한 철학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을 다독여 주는 말랑말랑한 이야기이다. 상처받은 영혼이 위로를 바랄 때, 욕망과 집착으로 괴로울 때, 매너리즘에 빠져 허덕일 때, 세상에 맞설 용기가 필요할 때, 미래를 여는 혜안이 필요할 때라는 소제목만 보더라도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마주한 문제들이다. 이런 상황들을 마주하지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현실은 우리를 순풍에 두지 않는다. 성장의 시간이라 생각하며 버티기 힘든 상황들도 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이겨내는 방법도 있지만 오롯이 나만의 문제로 남겨지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에 그것을 이겨내기 위한 힘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들은 경쟁시대에 살고 있다. 누군가를 이겨야만 나의 자리를 지킬 수 있는 것이다. 학교에서도 ‘1을 향해 달린다. 다른 것보다 공부를 잘하는 것에 집중한다, 그러다보니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을 주목한다. 잘 하면 인정받고 그렇지 않으면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 공부라는 하나의 관점이 아닌 다양한 관점으로 아이들을 바라본다면 공부 못하는 아이가 아니라 00을 좋아하고 잘 하는 아이라는 것을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경쟁 속에 살아가는 우리들도 한 가지 잣대로 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나를 바라보게 된다.

 

윌저는 다원적 평등 을 강조한다. 이는 어떤 측면에서 존경받지 못할 사람들도 다른 면에서는 명예롭게 될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중략)

나에게도 인정받을 무엇인가가 있다면 상 받는 이에 대한 질투심도 수그러든다. - p.42

 

 

 

어려운 철학이 아니라 우리의 삶 속에 녹아든 철학을 만난다. 그 안에서 우리가 마주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 힘든 시간들을 견뎌낼 지혜로운 방법들을 알 수 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없다고 말했듯이 우리들도 세찬 바람 속에서 흔들리며 살아간다. 그 흔들림을 불안한 마음으로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는 철학을 만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