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인성의 빛나는 밤 단비어린이 역사동화
신은영 지음, 정수 그림 / 단비어린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속에서 일어난 많은 일들 중 우리들이 아는 것은 많지 않다, 알고 있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지 않을까. 우리들에게 익숙한 전쟁이나 인물들이 아니라 백성들이 전투에서 승리를 이룬 사건들이 있지만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지 않다. 이번 책을 만나면서 영웅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알게 된다. 지금 우리들이 놓여있는 상황에서도 많은 영웅들을 만난다. 그들은 사명감을 가지고 각자의 자리에서 나를 위함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묵묵히 일하고 있다. 누구나 알만한 이름을 남기지 않았지만 그들은 큰일을 해냈다. 그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들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작가가 처인성에 관한 이야기를 듣지 못했더라면 우리들도 이 책을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나또한 처인성의 정확한 위치나 그곳에서 일어난 전투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아이들과 책을 보며 처인성에 대해 알아보고 처인성 전투에 대한 내용들을 찾아보았다. 역사를 다룬 책들을 보며 좋은 것은 자연스럽게 역사에 대해 알아간다는 것이다. 암기식, 주입식이 아니라 아이들이 궁금해서 찾아보게 하는 힘이 있다.

 

1232년 8월, 처인성 사람들은 왕이 수도를 버리고 강화도로 도망갔다는 소문을 듣는다. 몽골군이 다시 고려를 공격한다고 하니 처인성의 사람들도 불안하다. 열두 살이 된 무령이는 천민의 신분이다. 활을 만드는 궁사인 아버지의 곁에서 나무를 깎아 활을 만들고 활쏘기 연습을 한다. '벌레'만도 못하다는 소리를 듣는 천민으로 살아가고 있어 계급이 없는 곳에서 살기를 바라고 있다.

 

"처인성에서 여러분의 삶이 녹록치 않다는 걸 내 잘 알고 있소이다. 천대받는 삶, 그렇지 않은 삶 모두 똑같이 귀한 법이지요. 여러분 한 명 한 명이 얼마나 귀한지 부디 잊지 마시오. 부처님의 자비가 반드시 우리에게 내릴 것이니, 불심을 다해 고려를 지켜 냅시다." - p.50

 

세상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할 수 없을 거라 생각했다. 혜령이를 만나 활쏘기 연습을 하면서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생각하게 된다. 윤후 스님, 마을 사람들과 힘을 합쳐 몽골군과 맞서 싸우면서 자신은 '벌레'만도 못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윤후 스님의 이야기처럼 모두가 귀한 삶인 것이다. 높고 낮음. 크고 작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지금 우리가 당면한 문제들도 혼자가 아니라 함께 맞서고 있는 것이다. 무령이와 많은 사람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들도 빛나는 밤의 소중함을 알게 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