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알아야 할 음식 이야기
갈리아 타피에로 지음, 마르조리 베알 그림, 밀루 옮김 / 개암나무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 중 하나가 음식이다. 음식을 통해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하며 역사에 대해서도 알아갈 수 있다. 우리가 늘 먹는 음식에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지 모를 때가 있다. 다른 나라의 음식, 역사 속 음식 이야기를 보며 맛있는 음식의 다른 모습들도 만날 수 있다.

 

 

 

<어린이가 알아야 할 음식 이야기>는 제32회 프랑스 무앙 사르투 북 페스티벌에서 ‘지구를 위한 도서’ 아동 부문에 수상한 작품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여러 나라의 음식 이야기를 통해 다양성에 대해 배우고 우리들이 즐겨 먹는 음식에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있는지 알아간다. 사람들은 가끔 살기 위해서 먹는지, 먹기 위해 사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데 있어 음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존을 위해 먹는 것에서 나아가 음식을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하고 있다.

 

'음식은 과학'이라는 말이 있다. 음식을 하는 데 있어 과학적인 요소들도 빠질 수 없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 어떻게 음식을 보관하며 발효 등에 대한 내용을 보면 사람들의 지혜를 볼 수 있다. 우리의 식탁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재료인 후추는 유럽에서 높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었다고 한다, 생강이나 오렌지 껍질도 아주 소량으로만 구매할 수 있었다고 하니 지금과는 많이 다른 상황들이다.  

 

 

 

음식은 눈으로도 먹는다는 이야기를 한다, 보기에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했듯이 '요리도 하나의 예술'에서는 그런 내용들을 담고 있다. 요리가 하나의 예술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라고 한다. 집밥을 먹다가 가끔 외식을 할 때 잘 차려진 음식을 먹으면 맛뿐만 아니라 기분도 좋아진다. 입으로만 먹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감각들도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구를 파괴하지 않고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이다. 인간의 먹거리로 인해 다른 생물들이 사라지고 고통받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인간의 먹거리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과 공존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면 지금과는 다른 생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버려지는 음식에 대한 경각심도 불러일으킨다.  전 세계에서 해마다 버려지는 음식은 13억 톤이라고 한다. 음식 생산량의 1/3이라고 하니 정말 많은 양이 버리지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다양한 음식 이야기를 만날 거라 생각하며 책을 펼쳤다. 예상대로 재미있고 흥미로운 음식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하지만, 책을 덮으며 어려 가지 반성을 하게 된다. 우리의 욕심으로 맛있는 음식들이 쓰레기가 되어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할 생물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