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우수할 수밖에 없는 열두 가지 이유 - 인문 단비어린이 교양 5
노은주 지음 / 단비어린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한국어 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여러 나라의 학생들을 만났다. 그들은 왜 많은 언어 중 한국어를 선택했을까. 서툴지만 더듬더듬 읽고 쓰는 그들을 보며 왠지 모를 자긍심이 생겼다.  우리들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울 때 어려움이 있듯이 그들도 힘든 점이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하는 학생들을 보며 내가 한국어를 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러웠다.

 

 

 

한글이 없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을까. 만약, 우리에게 한글이 없었다면 지금처럼 자유롭게 글을 쓰고 표현할 수 있을까. 한글의 우수성은 사용하는 우리들보다 다른 나라에서 더 인정받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는 늘 사용하는 언어라 가끔은 그 우수성을 잊고 살아간다. <한글이 우수할 수밖에 없는 열두 가지 이유>를 보며 다시 한번 우리의 한글에 대해 알아간다.

 

열두 가지 이유 중 세 번째 이유인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어.'를 보면 한글의 접근성에 대해 알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을 알면 읽고 쓰는 것이 정말 쉽다. 몇 개의 소리글자만 익히면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소리글자이다 보니  입으로 내는 소리들을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책에서는 재미있는 표현들이 나온다. 부르르르, 뽀옹, 뚜륵뚜륵, 뿌웅, 꾸악꾸악 등의 다양한 소리들을 글로 표기할 수 있는 문자라는 것을 다시 한번 알아간다.

 

 

 

 

우리는 한 가지 색을 보며 다양하게 표현을 하고 쓸 수 있다. 블루(Blue)를 우리는 어떻게 표현할까. 시퍼렇네, 파랗다,푸르딩딩한데, 푸르다, 새파랗다 등 다양하게 표현을 한다. 그 느낌도 다르다. 파란색을 보며 이렇게 다양한 느낌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아마 이런 부분들 때문에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힘들지 않을까. 그냥 파란색이라 말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에 대한 고민을 할 거라 생각한다.

 

"가장 단순한 글자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입니다. 세종대왕은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입니다." - 펄 벅(소설가,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늘 사용하고 있어 잠시 잊었던  우리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알아가는 소중한 시간이다. 열두 가지 이유뿐만 아니라 '더 알고 싶은 이야기'들을 통해 한글에 대해 깊이 있게 알 수 있다. 다른 나라의 문자들을 소개하고 세계의 문자와 언어 지도를 보면 여러 언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한글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문제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