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을 잃어버린 아이> 서평단 알림
슬픈 열도 - 영원한 이방인 사백 년의 기록
김충식 지음 / 효형출판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다른 사람에게 꼭 권해주고 싶은 책 !!

슬픈 열도는 곧 슬픈 역사인가? 미처 몰랐던 역상와의 대면 뒤에 숙연해짐을 느낀다.
슬픈 열도 그것은 일본의 역사가 아닌 슬픈 우리의 역사였다,,,
숨가쁘게 흘러가는 역사의 뒤안길에는 한과 슬픔이 서려 있었다.
책의 표지에 쓰여 있는 영원한 이방인 사백 년의 기록! 이라는 글은
다분히 복선적이고 또 암시적이면서도 역설적인 시작이었다.
역사에 대해 다분히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넘어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역사의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역사의 사실을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은 김옥균, 최익현, 이진영, 도고 시게노리, 다치하라 세이슈, 역도산, 심수관,  이삼평, 김달수, 이회성 10명의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일본에서 생을 살았던 우리 한민족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진부한 역사가 아닌 새로운 흥미있는 역사로 다가왔다.

개중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도 많다. 갑신정변의 주모자 김옥균, 의병운동을 이끌었던 최익현, 일본의 프로레슬러 영웅 역도산, 하지만 이들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룬 책을 본적도 없었거니와 이렇게 한 가지 주제로 이들의 이야기를 모아서 볼 수 있는 기회도 없었다. 덕분에 내가 알고 있는 것이라고는 위에 잠깐 나열한 것들에 별로 더할 것이 없었다.

이제 와서 그들의 죄일 수만도 없는 과거 - 나라의 죄가 더 컸다 - 를 민족주의라는 도마 위에 올려놓고 선악을 가리고 심판하자는 차원에서 이 책을 쓴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런 이분법을 넘어서 야만, 멀리 이역 섬나라에서 텃세 속에 살다 간 그들의 슬픈 좌절과 패배를 공정하고도 입체적으로, 있는 그대로 파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 본문에서 -

저들의 역사는 곧 우리들의 역사인 것이다.

갑신정변으로 일본을 끌어들인 김옥균에게 잘못이 있다면 시대를 앞서나간 그의 개혁의지와 시류를 잘못읽은 탓일 뿐이다. 그에게는 오직 우국충정이 있었을 뿐이다. 오히려 일본에서 같은 민족이 자객이 되어 그의 가슴에 비수를 꽂을 수밖에 없었던 시대가 안타까울 뿐이었다.

다치하라 세이슈, 역도산,  그들에게 조국이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왜 그들은 이름을 떳떳이 드러내지 못했던 것일까? 과연 그들의 마음은 편안했을까? 이름을 여섯번이나 바꾸면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자 했던 다치하라 세이슈는 조선출신의 젊은 작가가 신인상을 수상하자 전화를 걸어 축하하고 저녁식사에 초대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시 일본순사들에게는 이런 이야기도 있었다. 한국 운동가를 잡으려면 제사 때 잡으라, 그만큼 사람에 대한 정, 그리고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마음은 변하지 않는 그들이었다. 

일본의 교육헌장과도 같은 부모장을 만들었던 이진영, 그리고 일본 정치사의 큰 인물이 되었던 도고 시게노리도 다름이 아닐 것이다.

 

도쿄 아오야마 공원에는 김옥균의 무덤과 비석이 있다. 자객에게 살해당한뒤 한국의 땅에서 다시 참수 당해 몸이 갈갈이 찢긴 그의 머리카락과 옷가지를 몰래 훔쳐와 묻어 두었다고 한다. 그리고 도쿄 오타구의 이케가미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역도산지상이란는 동상이 있다. 바로 역도산의 묘비가 있는 곳이다. 엔고로 주춤하다지만 일본으로 여행가는 사람들이 많다. 나 역시도 그랬지만 볼 거리가 많은 거리나 유명관광지나 일본 드라마에 나왔던 명소를 구경하는 것도 좋겠지만 다음 번에는 위와 같은 곳을 찾아 보는 것이 오히려 더 마음에 남지 않을까? 그러고 보니 일본에 묻혀 있는 우리의 역사는 한달을 빌려도 못찾을 만큼 많기도 한 것이었다.

 

난 빙 돌아서 갈 수밖에 없었어. 펜을 든 역도산 이라고나 할까. 역도산도 식민지 출신이라는 사실이 껄끄럽고 출세가 장애가 된다고 생각해 핏줄과 과거를 부정한 인물이다. 물론 이런 행동에 대해 비겁하고 더러운 친일파라고 팔매질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나는 철저하게 꾸며지고 굴절된 그의 삶에 밴 비극을 캐보고 싶었다. 언젠가 다치하라의 가면을 벗기고 그가 그토록 허구의 인생을 산 까닭을 파헤치고 싶었다...


                                                                                                   - 본문에서 -


지금도 많은 재일 한국인들이 일본에서 살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더 많은 한국인들이 입얍으로 혹은 이민으로 유학으로 해외에 흩어져서 살고 있다. 그들의 가슴에 있는 한국은 어떤 존재일까? 우국충정은 아닐지라도 각자 자기자리에서 고뇌의 삶에서 죄스럽게 살다가 이지러져 간 이들에게 결국 죄의 형틀을 씌어놓기 보다는 역사에 대해 깊이 되돌아 보고 이러한 인물들을 재조명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것은 민족주의도 아니요, 국수주의도 아니다. 이러한 자세는 바로 역사를 균형있게 바라보는 작업의 일환이고 그것은 곧 나를 바로 보는 것이며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을 균형있게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는 일이다.

우리가 가진 역사조차 바로 보지 못하는데, 우리가 가진 역사의 잔재들이 아직 저렇게 남아 있는데 과연 우리가 아닌 다른 이들이 보는 우리의 역사는 얼마나 진부하며 것일 수 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