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이후의 세계]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구글 이후의 세계 -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낼 인터넷의 미래
제프리 스티벨 지음, 이영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두뇌의 진화와 닮은 인터넷 세상
이 책은 32세 때부터 다수의 IT 기업을 직접 설립하고 경영한 대표적인 천재 CEO인 제프리 스티벨이 지었다. 제프리 스티벨은 '인터넷이 뇌로 진화'한다는 것을 신조로 자신의 비즈니스 방향의 기초로 삼았다. 그래서 <WIRED FOR THOUGHT>는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혁신과 비즈니스 기회를 잡으려는 이들에게 뇌를 정확히 이해하고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라고 충고하고 있다. '뇌를 제대로 이해하면, 인터넷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아갈지를 손쉽게 전망할 수 있게 된다'(11쪽)는 것이다.
9기 신간평가단 마지막 도서로 선정된 <구글 이후의 세계>와 <퓨처 마인드>는 비슷한 소재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서로 정반대의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제프리 스티벨의 <구글 이후의 세계>는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 인터넷이 인간의 뇌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하지만 리처드 왓슨의 <퓨처 마인드>는 자기계발적인 측면에서 인간 고유의 혁신적인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세상에 함몰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었다. 이 두 권을 한꺼번에 읽으면서 작가들의 여러 생각들을 비교하는 것이 재미있었다.
이 책의 대부분은 인간 두뇌의 특징과 인터넷과의 유사점을 밝히는 데 할애 되고 있었다. 인간의 두뇌는 결코 이성적이거나 완벽하지 않다. 불확실하고 비이성적이고 생각의 방향이 논리적이지 않고 한순간에 아무런 상관도 없는 것으로 비약한다. 인간의 사고방식을 닮은 인공지능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순환(루프)을 반복하는' 인간의 사고 메커니즘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사고방식의 특징은 <퓨처 마인드>에서도 다뤄지고 있는 내용이었다.
신경과학자인 골드버그는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통찰력'을 '지혜'라고 부르며 나이를 먹을수록 활발해진다고 하였다. 이것을 '정신의 공중 부양'이라고 한다. <퓨처 마인드>의 리처드 왓슨은 이러한 통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며 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제프리 스티벨의 경우에는 그러한 인간의 두뇌 활동을 인터넷이 닮아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었다.
인터넷은 모든 네트워크의 진화 과정의 규칙이 적용될 것이다. '네트워크는 커지면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기 때문에 비용 곡선은 더 이상 직선 형태를 띠지 않는다. 일단 네트워크가 임계점에 달하면, 평형 상태를 이루거나 스스로 성장을 후퇴시킨다. 모든 네트워크는 '빅뱅과 붕괴와 평형'이라는 단계를 거친다.'(171쪽) 그렇다면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인터넷'은 어느 단계에 있는 것일까? 제프리 스티벨은 자연의 네트워크를, 특히 '두뇌'를, 연구해 본다면 '인터넷'의 미래 모습도 예측 가능할 거라고 주장하였다.
제프리 스티벨은 인터넷의 미래를 이렇게 예측했다. "인터넷 자체가 의식을 가질 수는 없지만, 인터넷에서 의식이 태어나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아니, 어쩌면 우리는 앞으로 웹에서 다양한 의식이 탄생하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의 어떤 시스템은 인간처럼 가장 똑똑한 동물만 가지고 있다고 여겨온 '의식' 수준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 기대해도 된다."(221쪽) 앞으로 제프리 스티벨의 추측처럼 인터넷이 진화해 나갈지 눈여겨 보면서 지켜봐야겠다.
구글 이후의 세계는 어떤 모습이 될 지 생각해 보았다. 지금도 인터넷의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복잡하게 변하고 있다. 요새는 인터넷에서 많이 검색 된 것이 실제 현실에서 도리어 화제를 모으게 되는 것이 많다. 예전에는 겨우 현실을 보완하는 역할만 했던 인터넷의 영향력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디지털 세상은 더욱 견고해 질 것이고 지금의 아이들은 그 세계에 더욱 빠져서 파편화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지금도 사람을 만나기보다는 문자나 카카오톡을 하는 걸 더 선호하니 말이다. '사람간의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해 봐아야 할 시점일 것 같다. 비즈니스 측면에서 미래의 인터넷 세상을 예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기술 개발의 혁신을 현재 우리는 얼마큼 따라가고 있는 것일까? 그 거리감이 너무나 커져서 언젠가 모든 게 갑자기 끊어져 버릴 것 같다. 인터넷의 미래를 나쁘게 만드는 것도 좋게 만드는 것도 현재 우리 자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