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 똑똑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미술은 똑똑하다 - 오스본의 만화 미술론 카툰 클래식 13
댄 스터지스.리차드 오스본 지음, 나탈리 터너 그림, 신성림 옮김 / 서해문집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미술사조의 요약 정리본 

이 책은 시대에 따라 미술사조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피고 있다. 책 뒤편에 소개글을 보면, "이제까지 미술계에 벌어진 논쟁을 빠짐없이 언급하면서도 간결함과 재미를 잃지 않는다", "미술을 공부하는 학생에게 꼭 필요한 입문서"라고 되어 있다. 대체로 맞는 말이다. 단지 너무나 간결하게 요약, 압축되어 미술사조의 '요약 사전'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는 점이다. 미술사조나 인문학적, 철학적, 사회학적인 이론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이 책을 더 깊이 있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입문서'라는 말처럼 미술사조의 뼈대를 잡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 속에는 많은 미술 이론과 미술가, 비평가, 사상가들이 나오는데, 그것은 단지 '미술'에만 국한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과학과 사회, 철학 등을 아우르면서 핵심적인 사상 변화를 서술하고 있다. 그 시대의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인물의 말로 설명되고 있는데, 그 인물의 저서를 읽지 않으면 깊은 이해가 불가능하다. 사상가들의 저서에서 핵심 구절을 뽑아 내어 보여주는 것은 실제 이해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하여튼 미술 이론의 논쟁이 한 두 줄로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미술사조가 어떻게 발전되고, 어떤 한계가 있어서 쇠퇴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부족해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다.

책 속에서 코믹한 그림이 나오고 저자가 미술가나 사상가들과 논쟁되는 이론을 얘기하는 부분들이 나온다. 만화보다는 실제 미술 작품이 실려 있다면 책을 이해하는 데 더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품들이라 대충 이해는 되었지만 가끔 어떤 건지 이해가 가지 않는 것도 있었다. 그리고 미술 작품을 패러디 하여 코믹한 요소를 첨가하고 있지만 그 유머에 공감하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 저번에 서평책으로 선정되어 읽었던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에 있던 만화가 연상되었다. 이것도 문화적인 차이에서 비롯된 이해의 한계일까? 

그래도 그 무수한 미술론들을 이렇게 얇은 책으로 요약할 수 있다는 게 대단했다. 그것도 중간 중간에 만화나 대화들이 삽입되어 실제로 미술론을 설명한 부분은 적었는데도 말이다. 그만큼 핵심만 뽑아서 간결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미술 이론들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 책의 목차 부분을 보면 미술 이론으로 어디까지 봐야하는지 그 범위를 예상할 수 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는 미술 이론들을 분명하게 구분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초현실주의와 다다이즘, 추상미술, 반예술 같은 이론들은 언뜻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렵지만 이 책에서는 대표하는 이론가들을 통해 어떤 부분이 다른지 설명해 주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뜬구름을 잡는 기분이 드는 건 순전히 나의 배경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미술사조의 요약 사전이라고 한 것처럼 다음에 그 부분이 헷갈릴 때 다시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았다. 

이 책의 뒷 부분에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사상이 정리되어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은 짧은 기간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분량이 할애되어 설명되고 있다. 그 부분이 특히 재미있었다. 그것은 최근 우리들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은 미술 이론보다는 더 포괄적인 이론들을 다루고 있는데, 그것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미술 작품을 직접적으로 논하지 못한 것 같았다. 하지만 현대 미술의 현상에 관심이 높다면 이 책에서는 부족함을 느낄 것이다. 최근 전시회에서 본 '키스 해링'이나 '훈데르트바서'처럼 환경을 생각하는 미술가에게도 관심이 있어 더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번 달에 서평책으로 선정된 <예술의 정신>을 함께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오스본의 만화 미술론>이 미술 이론들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면, <예술의 정신>은 화가가 지녀야 할 마음의 자세를 얘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여튼 복잡한 미술 이론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면 이 책을 훑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