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콘서트>를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건축 콘서트 - 건축으로 통하는 12가지 즐거운 상상
이영수 외 지음 / 효형출판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 종합예술의 하모니

이 책은 프롤로그에서는 ‘건축가’에 대한 내용을, 에필로그에서는 ‘건축’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전체를 아우르며 구성에 대해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 그 사이에는 총 5장으로 나뉘어 건축에 대한 집중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건축의 상상력과 공간의 탄생, 빛과 색의 관계,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건축의 생태적인 소통방식, 그리고 디지털 기술로 인한 건축의 미래상이 다뤄지고 있다.

프롤로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건축가와 우리나라의 근대 건축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유명한 건축물이 있었는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한국 최초의 현대건축가로 불리는 박길룡의 <화신백화점>이 지금 봐도 큰 규모였을 거라고 짐작되는데, 그 당시에는 얼마나 큰 문화적 충격이 되었을지 상상할 수 없었다.

먼저 1장은 ‘상상하라, 끝도 없이!’다. 신화나 만화, 영화, 미술 등에서 등장하는 공간에 대한 다양한 상상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특히, 그러한 엉뚱한 상상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어떻게 현실화 되었는지 실제의 예를 들면서 밝히고 있다. 해바라기처럼 태양을 따라서 조금씩 움직인다는 건물이 무척 신기했고 생활에 필수적인 것들이 있는 네모난 박스를 기하학적으로 쌓아 언제든 옮길 수 있는 아파트가 있다는 사실은 사진을 보면서도 믿을 수 없었다. 그리고 미래에 지구의 재난을 대비한 노아의 방주인 ‘릴리패드’는 침몰할 걱정 없이 살아보고 싶은 작은 소도시였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었던 챕터였다

그 다음 챕터에서는 건축가 자신이 직접 디자인했던 여러 실제적인 예를 들고 있어서 창의적인 상상이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지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이어리 하나까지도 자신의 편의에 맞추어 디자인 해 보고 명함 하나까지도 사람에게 기억될 수 있게 만드는 디자인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산재해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2장은 건축 공간의 탄생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담양의 소쇄원을 가본적이 있어서 그때 들었던 대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가 귀를 꽉 채우는 것 같았다. 특히, 부석사에서 무량수전까지 들어가는 경로를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는 부분은 흥미로웠다. 기승전결이라는 문학적 구성을 끌고 와 부석사의 각 요소가 주변 환경과 관계 맺으며 전체를 이루는 모습이 환상적으로 다가왔다. 산에 있는 절을 다니면서도 생각해 보지 못 했던 부분이라 다음에 절을 다시 찾아가면 재미있을 것 같았다.

3장은 건축의 빛과 색의 관계를 말하고 있다. 여기서는 특히, 설치 예술가인 브루스 먼로가 만든 ‘시디 바다’라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4만 제곱미터의 넓은 땅을 임대하여 60만장의 시디로 바다처럼 구불구불하게 깔아놓은 것인데, 낮에는 햇빛을 받아 반짝이고 밤에는 달빛에 비쳐 은은한 빛을 뿜어냈다고 한다. 그리고 2개월 후에 철거되었다고 하는데, 그 어마어마한 예술 작품이 그냥 사라져버렸다니 무척 아쉬웠다. 나도 그 시디 바다를 실제로 보고 싶어졌다. 빛과 색의 화려한 향연이 눈을 부시게 만들었다.

4장은 건축의 현재성으로 점점 더 생태적인 요소를 접목하려는 여러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5장은 디지털 시대에 구현된 건축의 발전 모습을 여러 자료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여러 건축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비정형적인 복잡한 건축을 실제로 만들어 내는데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전문적인 직종의 예로 설명하고 있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물들과 앞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 기하학적인 미래형 건축물들이 눈을 즐겁게 한 책이었다. 서로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나 똑같은 건축물을 예로 든 점은 조금 아쉬운 감이 있었다. 뒤로 갈수록 건축 자체보다는 건물의 외양에 치중된 것 같기도 했다. 하지만 건축의 기본적인 내용을 모두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건축’이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조합이 있어야 가능한 종합예술이라는 것을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건축가 김수근이 건축의 모든 것을 압축하여 나타낸 말이 가슴을 오래도록 두드렸다. 

“나의 집은 자궁입니다. 내 집은 자궁이고, 자궁의 집은 어머니이며, 어머니의 집은 가옥이며, 집의 집은 환경입니다. 집을 주택으로만 생각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환경입니다. 환경은 철학적으로 공간이 되겠는데, 공간은 집의 집의 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