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극과극>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사진의 극과 극 - 카피라이터 최현주의 상상충전 사진 읽기
최현주 지음 / 학고재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사진의 자정과 정오의 시간

작가는 말한다. ‘극과 극’은 삶과 죽음이나 앞과 뒤처럼 반대되는 극점에 서 있는 개념이 아니다. 흰색과 검은색 사이에 화려한 색깔들이 수를 놓고 있는 것처럼 각각의 사진들이 모여 한눈에 담을 수 없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 같은 공간이지만 다른 시간을 갖거나 같은 시간을 공유하지만 다른 공간을 갖는 소재를 뽑아내 보여주고 있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구성은 먼저 비슷한 소재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두 명의 사진작가를 두고 사진을 골라낸다. 그 사진작가와 사진을 가지고 떠오르는 단상을 시, 소설, 영화, 미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나 개인의 추억들을 이용해 다채롭게 꺼내놓는다.

특히, 카피라이터답게 문체가 단문으로 깔끔하고 강렬하다. 그 문장을 씹고 고심하는 맛도 색다른 경험을 전해준다. 그 중에서도 글쓴이만의 재미있는 발상도 엿볼 수 있었다.

나는 ‘사이’라는 말을 무척 좋아한다. 우리가 A와 B 사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A와 B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고 A와 B의 어느 것도 아니다. A와 B 사이는 A와 B의 합보다 크고 웅숭깊다. 모든 ‘사이’는 기본적으로 관계 지향적이어서 은밀하고 에로틱하다. ‘사이’는 국경처럼 위태롭다. 사진 속에서 불안이나 불안정한 감정, 알 수 없는 긴장감이 읽힌다면 그것이 바로 ‘사이’의 특징이다. (140쪽)

많은 사진작가들과 그들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사진을 접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단지 아쉬운 점은 사진이 적게 실린 점이었다. 하지만 특정한 몇 명이 아닌 거의 50명이 넘는 현대 사진작가를 아우르며 소개하고 있다는 점은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다 우리나라 작가나 외국 작가를 따로 구분하여 한 부분만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작가들을 만날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이 중에서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던 것은 박하선이라는 사진작가의 작품이었다. 티베트에 들어가서 조장을 하는 풍습을 찍은 사진이었다. 조장은 우리나라의 매장이나 화장처럼 하나의 장례 풍습이다. 그건 너른 들판에 시신을 두면 독수리들이 육신을 먹고 영혼과 함께 하늘로 올라가 내세에 더 좋은 생으로 윤회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다른 말로 ‘천장’이라고 하는데, <천장터의 독수리들>이란 작품은 흑백의 명암 대비로 흡사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서 있는 것처럼 그 느낌이 무척 강렬하다. 그리고 거대한 한 마리의 독수리가 사진 앵글로 달려들 듯 날개를 활짝 펴고 솟구치는데 그것은 사신이 들고 있는 기다란 낫을 휘두르는 것처럼 눈으로 무섭게 파고든다. 거기다 그 독수리는 초점이 맞지 않은 듯 흐릿하게 찍혀 있다. 그럴수록 독수리 날개의 힘찬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모래 폭풍을 일으키는 것 같다. 독수리는 먹이를 낚아채듯 날카로운 발톱을 들어 내 얼굴을 할퀴어버릴 듯 그 기세가 만만치 않았다. 이 강렬한 사진 한 장을 오래도록 눈에 담았다.

그리고 사진에 이렇게 다양한 주제가 있는 줄은 미처 예전에는 몰랐다. 그저 빛과 어둠을 이용하거나 순간적인 찰나를 찍은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했다. 세계적인 사진작가의 사진집을 보거나 사진 전시회를 다녔어도 그동안 사진에 대해 너무 안일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많은 작가들이 자기만의 주제로 꾸준히 사진을 찍어 왔고 단순히 사진을 찍는 행위로만 그치지 않았다. 어떤 이는 마술처럼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연구해서 실제로 그럴듯하게 찍었고, 또 어떤 이는 호텔의 많은 창에 비친 방을 따로따로 세트장에서 찍고 하나로 모아 찍거나, 또는 신문지상의 사건을 재구성하여 모형으로 만들고 그것을 다시 찍거나, 사진 속에서 자신을 무한 복사를 하거나, 콜라주 방식으로 여러 사진을 이어 붙여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거나, 사진 속의 다양한 형식 실험은 끝이 없었다.

책의 소개 문구처럼 정말 많은 사람들이 ‘유쾌한’ 사진 놀이에 푹 빠져 있었다. 그 무한한 상상의 세계 속에서 극과 극은 어느새 사라지고 감탄만이 남아 긴 여운을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